논문 상세보기

중심 항만 기능을 활용한 불산항의 환적 컨테이너 유형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ransshipment Type of Busan Port Utilizing Regional Hub Port Fun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0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부산항 환적 컨테이너의 연평균 증가율은 34%를 상회하는 고속 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7%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더구나 2006년에는 0.6% 성장에 그쳐 그 동안 부산항 물동량 증가에 견인차 역할을 해오던 환적 컨테이너의 지속적인 성장이 관심사항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부산항 환적 컨테이너의 4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항만의 환경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북중국 주요 3개 항만에 대한 대형 선사들의 직 기항 증가와 상해의 심수항 개장은 부산항의 환적 컨테이너 유치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있다. 일본 역시 항만 경쟁력을 높여 자국화물을 지키기 위해서 슈퍼 중추 항만 구상을 실현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의 항로 교차형 및 중심 분산형의 환적 유형 및 처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환적 컨테이너를 지속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즉, 대형 선사들이 부산항을 환적 거점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용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Busan Port has been facing critical situation in terms of container handling volume, especially growth rate of transshipment(T/S) container of the year of 2006 was at a standstill.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S container during the period of 2003 to 2006 slowed down to 7.7% while it recorded over 34% to the period of 1999 to 2002. It has mainly resulted from the change of circumstance of Northeast Asian ports, that is, firstly mega carriers' increasing direct call to Northern Chinese ports such as Qingdao, Tianjin and Dairen effected to T/S container volume of Busan port, secondly start to operate deep-water port of Shanghai, thirdly Japanese super hub port project to handle their local containers at domestic port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S type of inter-routes and hub and spoke and statistical status of Busan por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opose new concept which is to attract T/S container utilizing hub port function of Busan port in Northeast Asia It is that mega carriers are given dedicated terminals to use Busan port as T/S base in the region.

저자
  • 양원 | Yang, W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