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초 1만1천TEU 엠마머스크호의 첫 등장을 필두로 향후 5년 이내 1만5천TEU급의 극초대형선 등장이 예견됨에 따라 항만관련 기술들의 고생산성화, 첨단화, 자동화, 효율화는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미래의 요구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항만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선진항만운영사와 기업들은 항만산업시장 선점과 기술개발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존에 체계적, 분석적, 세부적인 항만기술개발 로드맵이 없어 국가적 항만기술개발 정책의 효율적 추진과 국내 항만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항만환경변화 추세를 바탕으로 분야별 국내 항만기술의 개발과제 도출과 개발우선순위를 분석하였고, 분야별/기술별 개발시점에 따른 거시적 로드맵 및 분야별 개발기술에 대한 제품개발과의 연관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Since Emma Maersk, which is a container vessel capable of holding a freight capacity of 11,000 TEU, was launched early last year, the appearance of the ULCS (Ultra Large Container Ship) will be expected in 5 years. That requires the high productivity, the high technology, the automation, and the high efficiency in port operations. GTO (Global Terminal Operator) and port equipment companies are striving for the prior occupation of the port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the port technology. Within the country, however, there has been few systematic, analytic, and detailed technology road map, and the effective execution of the development policy for the port technology and the activation of port industries has not been achieved. In this study, we deduces the development subject of the domestic port technology and analyzes the priority of them. In conclusion, we establishes the macro technology road map and the product-related road map for container por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