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선 계측에 의한 주묘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nalysis on the Pattern of Dragging Anchor in Actual 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3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면적의 증가 및 갑작스런 돌풍 등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묘박 중인 선박이 주묘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특히, 선박운항자의 관점에서는 풍속 및 파랑 등의 외력 변화에 따른 주묘 발생 시점 및 주묘 형태, 주묘시의 속력과 주변 선박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 등을 고려한 적절한 대응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실습선 한바다호가 단묘박으로 묘박 중 기상이 점점 악화되면서 실제로 주묘가 발생한 현상을 검토한 것으로, 묘박 당시의 풍압력, 유압력, 표류력, 선체운동 그리고 파주력 등을 분석하여 주묘의 발생 가능성 및 한계 외력을 고찰하였다. 또한, 당시의 외력 조건하에서 발생한 주묘패턴을 분석하여 선수방위 변화량, 스윙폭, 주묘 속도 등을 확인하였다.

Vessels on anchoring are frequently dragged due to the increased area of wind pressure by enlargement of ship's size and sudden gust of winds in recent years. In the view point of the ship's navigators, the proper measurements corresponding to the dragging of ancho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concerned about the time for the occurring of dragging by the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and wave, the pattern and speed of dragging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with any other vessels or obstacles.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the actual dragging anchor in T.S. HANBADA due to the wind and waves. From this case, it was found the critical external forces by which she was begun to dragged comparing the force by the wind, frictional resistance, drifting force and ship motion moment with the holding power.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ragging pattern, it was known the alteration range of heading angle, swinging width and dragging speed etc.

저자
  • 정창현 | Jung, Chang-Hyun
  • 공길영 | Kong, Gil-Young
  • 배병덕 | Bae, Byung-Deug
  • 이윤석 | Lee, Yun-S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