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26일 21시 45분경, 백령도 서남쪽 1.6km(1마일)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천안함이 원인 미상의 사고로 침몰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연안공학자의 입장에서는 수색 및 구조에 필요한 기초자료인 해상조건들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보다 자세한 예측 및 유추가능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은 뜻깊은 일임에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령도-대청도 부근해역의 기상, 파랑, 조석 및 조류, 저질, 부유사 상태 등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해역특성을 분석하였다. 사건당시의 유속상황은 소조기-중조기 사이에 해당하며 사고발생일인 3월 26일이 지나고 4월 3~4일까지는 유속이 가장 강한 대조기가 진행되는 시점으로 수색 및 구조작업에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21:00-22:00 경은 낙조가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물질이동은 남동쪽이 우세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불규칙한 해저지형으로 인하여 급격한 와류 등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어 입자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입자는 유속상황에 따라서, 초기에는 남동쪽으로 이동하지만 장기 예측결과, 외해쪽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추후, 수색작업의 범위를 외해쪽으로 확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eonan, Republic of Korea Navy patrol ship sank had happened by an unknown incident in the vicinity of Baekryeongdo southwest 1.6km(1 mile) sea at 21:45 on March 26, 2010. In terms of coastal researcher's point of view,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sea condition of basic data necessary for search and rescue, more detailed predictions and inference data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s. Th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eather, wave, tide, tidal current, bottom soil conditions, and suspended sediment are investigated at the coast of Baekryeong-Daechung islands. And based on these data, the characteristics of sea conditions were analyzed. The tidal period at the time of incident corresponds between neap tide to mean tide. Until April 3-4 after March 26, the date of incident, the strongest velocity was progressed towards the spring tide. Thus, it was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lso, because the ebb tide was in progress during 21:00 to 22:00, mass transport seems to be prevailed to the southeast. In particular, as the sudden turbulence due to the irregular topography existed was anticipated, we had carried out particle tracking experiment. From this experim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flow, the initial movement of the particles were directed to the southeast but it turned out moving towards the offshore based on the long term prediction. Through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scope of the search operation should be expanded towards the open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