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vifauna in Chiri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야생조류 서식현황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여, 1991년 2월부터 11월사이에 3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 지역에서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24종, 여름철새 12종, 겨울철새 9종, 나그네새 4종으로 총 6목 24과 49종 991객체와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황조롱이가 관찰되었다. 평균서식밀도는 2.09마리/ha 이며, 주요 우점종은 박새, 곤줄박이, 노랑턱멧새, 어치, 동고비, 직박구리, 쇠박새 등의 순이었다. 이용강도가 높은 천은사 코스는 봄, 가을철에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화엄사 코스는 봄철에, 피아골 코스는 가을철에 종수 및 개체수의 최대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봄철에는 화엄사 코스가 조류번식지로서 유리하며, 피아골 코스는 가을서식지로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종다양도지수는 겨울철에는 전 조사지에서 이용강도가 일정하고 환경이 단순하여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3개 조사지는 계절별로 유사도지수가 낮게 나타나 각 조사지가 상이한 환경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봄철에 조류번식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화엄사 코스와 가을철에 조류서식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피아골 코스는 야생조류외 적절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 이용공간에서 이용객을 제한함으로써 종다양도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asonal avifauna and to suggest a proper way how to manage and protect wild birds in Chirisan National Park. The survey was carried over 3 main trail districts by line transect method to figure out influence factor of inhabitation of wild birds from February to November in 1991.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The observed birds were belong to 6 orders 24 families 49 species and 981 individuals and Falco tinnunculus(Natural monument No. 323). These birds also classified into 24 species for residents, 12 species for summer visitor. 9 species for winter visitor, 4 species for passage migrant, respectively. The observed average frequeney of birds was 2.09e.a./ha, and main dominant species were Parus varius, Parus major, Emberiza elegans, Garrolus glandarius, Sitta europaea, Hypsipetes amaurotis, Parus palustris in order. Cheoneun-sa trail route showed relatively decreasing trend of wild birds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because of the highest trail use of visitors. Maximum frequency of species and individuals appeared at Hwaum-sa route in spring and at Piagol route in fall. respectively. Those regions well explained the advantageous inhabitation area of birds in both regions. The diversity index of birds in winter showed little difference of similarity index due to balanced use of trails. Seasonal low similarity index in those 3 main trail district indicate a dissimilarity of environmental factors. Trail use restriction as a provision of proper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wild birds have to be made at Hwaum-sa route where propagation of birds actively occurred in spring and at Piagol route where birds wintering were observed will contribute to enhance species diversity in the future.

저자
  • 이우신
  • 이준우
  • 박찬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