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 -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ǒ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신갈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in valley of Kumpotan-Paekryunsa of Tokyusan National Park, four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community divided by 8 groups. The divided groups are Carpinus laxiflora-C. cordata community(I), Pinus densiflora-C. lax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II), C. laxiflora community(III), Q. mongolica-C. laxiflora community(IV), Q. spp. community(V, Ⅵ), and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Ⅶ, Ⅷ). In the analysis of ordination techniques, DBH distribution, environmental variables etc., community Ⅶ and Ⅷ were pointed out edaphic climax. So the successional trends seems to be from P. densiflora through Q. mongolica, Q. serrata to C. laxiflora, C. cordata, F. mandshurica in canopy layer. And in the subtree and shrub layer, it was expected that Rhododendron mucronulatum, Rh. schlippenbachii, Rhus trichocarpalongrightarrowAcer pseudo-sieboldianum, Lespedeza maximowiczii, Euonymus oxyphyllu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longrightarrowStaphylea bumalda, Weigela subsessil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species, F. mandshurica correlated with exchangeable cations significantly.

저자
  • 이경재
  • 최송현
  • 조현서
  • 이윤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