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opographic Environment for Urban Forest Area in Taejon City Using Landsat - 5 TM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도시의 환경문제가 인구와 시설의 증가에 의해서 점점 더 심각해짐에 따라 도시내 산림을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에서 도시내 또는 도시외곽에 위치한 산림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 분석 단계로서 산림지역의 지형환경을 Landsat - 5 TM데이타와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andsat - 5 TM의 영상자료로부터 산림지역을 추출하였고,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표고, 경사도, 주경사향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영상자료로부터 추출한 산림지역에서 특히 보문산, 봉산, 갑하산, 식장산과 계족산의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환경 분석이 이루어졌다. 대전지역에서 산림지역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은 55.1%로 도심지역보다 약 5배 많은 며적이다. 전체 산림지역의 표고 분포는 200m 이하가 70.8%이고, 400m 이상은 4.8%이다. 5개 지역에서 계족산은 100~200m 지역의 전체의 45.7%, 보문산은 300m 이하 지역이 92.4%이다. 갑하산과 식장산에서 300m 이상되는 지역은 각각 20.4%와 46.6%이다. 도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봉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50% 이상이 경사 20˚ 이상의 급경사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식장산에서는 30˚ 이상의 절험지가 35.2%나 분포하고 있다. 식장산과 갑하산은 보문산, 계족산보다 고도, 경사도 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nvironment in urban are becoming worse and forest is being recognized the major part of city by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faci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opographic environment as the basis for reasonable management and utility of forest situated in Taejon city and its vicinities using Sandst-5 TM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DTED). Forest area was extracted by Landsat-5 TM data. Distribution of elevation, slope and aspect was derived from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The research area to analyze ropographic environment for urban forest were Bomumsan, Bongsan, Kabhasan, Sikchangsan, and Kyechoksan. Forest, the largest area in Taejon covers 55.1% of totaf area. This is more 5 times than urban area. 70.8% of forest area in Taejon city is located in elevation of lower than 200m and 4.8% of that is located in elevation of upper than 400m. Distribution of elevation is 45.7% of total area for 100m to 200m in Kyechoksan and is 92.4% of total area for lower than 300m in Bomumsan. Elevation of upper than 300m is 20.4% of total area in Kabhasan and is 46.6% of total area in Sikchangsan. The slope of more 20 digree is over 50% of total area in every area except for Bonsan and 35.2% of total area in Sikchangsan and Kahasan than in Bomumsan and Kyechok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