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Land Use Pattern due to Urbanization in Taejon Korea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섯 번째 대도시인 대전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와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조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의 녹지자연도 비교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은 27.8%이었다. 1998년에 조사된 녹지자연도는 총8개 등급, 541개 격자로 구성되었다. 2차림인 7등급이 203개 격자(37.5%)로 가장 많았고, 개발지역인 1등급이 137개 격자(25.3%)인 반면 경작지인 2등급은 81개 격자(12.7%), 조림지는 84개 격자(15.5%)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 녹지자연도의 비교에서 1등급이 9개 격자가 증가한 반면, 2등급이 6개 격자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논이 62km2에서 52km2로의 10km2가, 밭과 산림지역이 각각 4km2 및 1km2가 감소한 반면, 대지와 공장용지가 각각 10km2 및 0.5km2가 증가한 것으로 녹지자연도 비교의 결과와 같게 나타났다. 대전시 녹지 대부분이 도시외곽의 국립공원에 분포하여 결과적으로 도시 중심부의 경작지가 개발지역으로 변화되었다. 개발제한구역이 설정되어 있기는 하나 녹지자연도로 본 대전시의 녹지는 질적, 양적으로 감소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how land use pattern in Taejon the sixth largest city in Korea has changed with urbanization. Degree of green naturalness (DGN) was used to analyze land use pattern from 1990 to 1998. Number of 1km×1km grids numbers of satistical land use data and compared rate of population increase quantified land use pat-tern. The rate of population increase of Taejon was 27.8% from 1990 to 1998. Eight degrees of DGN were identified with secondary forest(grade 7) occupied the largest area (203 grids: 37.5%) of the total 541 grids in 1998. The changes in land use were compared among 1990, 1994 and 1998. Grade 1 increased by 9 grids while grade 2 decreased by 6 grids. Likewise paddy field decreased by 10km2 from 62 to 52km2 dry field and forest also decreased by 4km2 and 1km2 respectively while residence and factories increased by 10km2 and 0.5km2 respec-tively. The green space was mostly distributes in a national park and greenbelts in the outer zone of the city. As a result paddy and dry fields in central area of the city have been changed to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The city environment in term of DGN reduced its quality and qua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