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tland Types in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서울시의 대표적인 습지유형인 저수지형습지(송파구 방이동 습지)와 묵은논형습지(은평구 북한산성 입구 습지)에 대한 현장조사(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존식생에 있어 저수지형습지는 개방수면이 넓고 추수(抽水)식물인 갈대의 분포가 넓은데 반해 묵은논형습지는 수심이 전반적으로 낮고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수면이 협소하고 습생(濕生)식물인 고마리의 분포면적이 넓었다. 식물상에 있어서는 저수지형습지에서 42과 80속 86종 8변종 1품종 95종류가 조사되는데 이중 나도겨풀, 마름, 수련과 같은 부엽식물과 좀개구리밥과 같은 부유식물이 조사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이 조사되지 않았다. 그리고 묵은논형 습지에서는 35과 53속 57종 7변종 1품종 65종류가 조사되었다. 야생조류는 저수지형습지인 송파구 방이동 습지에서 28종 43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서울시 보호종 6종 모두를 포함하여 산새와 물새가 고르게 관찰되었다. 묵은논형습지인 은평구 북한산성습지에서는 32종 365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중 천연기념물 1종, 환경부 보호종 1종, 서울시 보호종 4종이 관찰되었다. 저수지형습지에서 대상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경계부 산림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저수지형습지가 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지형습지의 지형구조가 다양함에 따라 식생유형과 동물상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wetland in the city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he deep water type and the abandoned paddy type,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the wetland. The former sample site was located near the Olympic village in Songpa-gu of Seoul, and the latter sample site was in front of the Mt. Bukhan fortress in Eunpyeong-gu of Seoul. The actual vegetation, vascular plants, and avian fauna were researched. In the actual vegetation, the deep water type had the broad surface of water and the emerged plant as Phragmites communis have grown widely, but the abandoned paddy type had the narrow sur-face of water and hydrophyte as Persicaria thunbergii have grown widely. It might be judged because the water depth of the abandoned paddy type were shallow wholly. And the floating-leaved plants and the free-floating planktonic plants were not observed such as Nymphaea tetragona var. angusta, Lemna paucicostata in the abandoned paddy type wetland. The wild birds were mainly observed at the edge of the wetland(at the edge of woodland) in the abandoned paddy type, but were observed equally in the deep water type. 28 families 433 species were observed at the former site and 32 families 365 species were observed at latter site. It was judged that the various topographical structure(habitat diversity) might make all items various.

저자
  • 이경재
  • 권전오
  • 이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