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 방안 KCI 등재

A Study on Management for the Cultivate Land of Greenhouses through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in Seoul Urba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경작지 유형에 비해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경작지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을 넓은 공간과 시간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시설경작지는 주로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19.83ha로 다른 농경지 유형에 비해 넓고 Shape Index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변부가 상당히 단순한 패취이다. 또한 시설경작지 패취에 인접한 상위 3개의 토지이용을 분석하면 시설경작지 패취에 가장 많이 인접해 있는 유형은 교통시설지로 분석패취의 60%에 인접해 있었으며, 분석패취의 43%가 산림지에, 36%가 다른 유형의 농경지에, 그리고 33%가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경작지 주변의 주된 토지이용이 교통시설지로 나타나는 것은 농작물 생산과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경관생태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경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Reviewing the trend of land use in urban cultivated land, the large part of land has been changed into the high-profit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or the developing areas. So, its percent of cultivated land in land use comparing to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would get far hig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in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and to find its alternatives for management, which would be a basis of reg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hose its area reaches 19.3ha, in Seoul are mainly dispersed on the south eastern part of Seoul and its area is larger than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ape index analysis, its perimeters were very simple. Also, Analyzing the first three major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the most frequent biotope types of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ere that transportation facility represented 60%, forest, 43%,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36%, and residential area, 33%. The cause why the percent of transportation facility was higher in the neigh-boring land use types was assumed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rop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the cultivated land would be managed and contributed to enhance biodiversity and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저자
  • 송인주
  • 진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