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KCI 등재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 in Han River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한강 유역의 팔당댐 부근(1조사지역), 밤섬 일대(2조사지역), 난지도 일대(3조사지역) 등 3개의 지역에서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0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서식환경 중 3개 지역 모두 수역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1조사지역은 산림의 비율이 높았고, 2조사지역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환경이 존재하였다. 조류군집 조사 결과 총 5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겨울을 중심으로 오리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2조사지역과 1조사지역의 서식밀도가 높았으나, 3조사 지역은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겨울조사에서 2조사지역은 수면성 오리류. 1조사지역은 잠수성 오리류의 비율이 높았다. 잠수성 오리류는 2조사지역에서는 비오리, 1조사지역에서는 흰죽지(Aythya ferina)가 대부분이었다. 이외에 1조사지역에서 물닭(Fulica atra)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수면성 오리류의 경우 2조사 지역에 채식지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서식환경이 존재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조사지역에서 흰죽지와 물닭의 서식밀도가 높은 것은 수심이 일정하고 수생식물이 풍부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보인 3조사지역의 경우 하안과 고수부지를 자연성이 높은 환경으로 조성해 준다면 조류의 종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한강 유역의 다른 지역에 적용한다면, 조류의 서식처로서 한강 유역의 잠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s on 3 sites in Han river area from May 2001 to January 2002. Water area was the most dominant habitat type in each site and also forest was dominant habitat type in site 1(Paldang area). Site 2(Bam island area) had various habitat types e.g. shrub field sandv plain, reed bed and grass field. Total 52 bird species were recorded on 3 sites in Han river. Ducks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especially in January 2002. Density of individuals were higher in site 1 and 2, but lower in site 3(Nanjido area). In January 2002, dabbling ducks were dominant in site 2, and diving ducks were in site 1. Among diving ducks, common merganser Mergus merganser showed high density in site 2 and pochard Aythya ferina did in site 1. In site 1, coot Fulica atra showed also high density Diverse habitat types could be support foraging resources for dabbling ducks in site 2. High density of pochard and coot would be related to abundant aquatic plants and stable water depth in site 1. Manipulation of riparian zone in site 3 into natural vegetation would increase the bird species diversity. By the manipulation of habitat, habitat potentiality of birds would be increase in Han river area.

저자
  • 허위행
  • 박성진
  • 임신재
  • 박용수
  • 최서윤
  • 이창배
  • 이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