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KCI 등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조사는 2002년 7월부터 9월까지 진도군 가사도에서 도서연안 폐염전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Braun-Blanquet and Elenberg의 방법에 따라 21개의 방형구(1×1m, 1×2m)를 설치하여 생태학적 조사하였다. 조사된 폐염전의 관속식물은 17과 48종이며, 이중에서 염생식물은 20종(42%), 중성식물은 28종 (58%)이 나타났다. 또한 폐염전에서 서식지의 교란은 염생식물의 교란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귀화식물은 오리새, 달맞이꽃, 망초, 코스모스 등의 23종이 분포하고, 이중에서 중성식물이 20종(71%) 분포하고 있었다. 식생군락은 염생식물 초지군락은 갯질경군락, 갯개미자리군락, 칠면초군락, 습지 초지군락은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가는잎모새달군락, 중성 초지군락은 실망초군락과 갯당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들의 폐염전에서 식생의 구조, 분포,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고, 식생표와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This ecological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on changes of abandoned salt field, 21 plots(1×lm, 1×2m) set up by the methods of Braun-Blanquet and Elenberg in a coastal island, Gasado, Jindogun, from July to September,2002. The vascular plants of abandoned salt field in the surveyed site identified 17 families and 48 species. Of these species, halophytes and mesophytes were 20(42%) and 28(58%) species. In addition, the disturbance to this habitat led to the change of halophytes in abandoned sald field, exotic plants was distributed 23 species, which included Dactylis glomerata, Conyza canadensis, Oenothera odorata, Cosmos bipinnatus, etc., in the group of, mesophytes were 20(71%) species, vegetation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y types, i.e. the halophyte grassland community(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Spergularia marina community), the wetland grassland community(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Carex scabrifolia community, Phaceturus latifolius var. angustifolius community), and the mesophyte grassland community(Erigeron bonariensis community, Daucus littoralis var. koreana community). Each communities was described the structual,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in the abandoned salt field, the vegetation table and actual vegetation map were prepared.

저자
  • 김하송
  • 임병선
  • 이점숙
  • 박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