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북 만경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만경강 하구역 염습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10과 25속 29종 3변종으로 총32종류(taxa)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과 6속 6종 1변종 총7종류(taxa)이 조사되었다. 식물의 생활형에서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이 10종, 31.3%로서 1년생식물의 10종과 동일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번식형에서는 중력산포형이 23종으로 71.9%로 나타났다. 생육형을 보면 직립형이 9종, 총생형이 9종, 후직립형이 5종으로 조사되었다. 식생의 특징은 조간대가 넓게 펼쳐져 있어서 조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식생의 구성종으로는 칠면초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갯개미취, 모새달, 갈대, 비쑥, 천일사초 등이 주로 나타난다. 표조작법에 따라 식물군락을 분류한 결과 칠면초 군락, 갯개미취-비쑥 군락, 해홍나물 군락, 해홍나물-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털물참새피 군락, 갯개미취 군락, 칠면초-갯개미취 군락, 갯개미취-칠면초 군락, 모새달 군락의 11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염습지내 식생의 분포는 저위염습지와 고위염습지의 지형적 차이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칠면초 군락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 염습지의 우점종으로서 본 조사지역내 저위염습지에서는 순군락을 이루고 있다. 염습지의 수로, 습지, 해안하구 주변에서는 주로 갈대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기수지 역, 염습지내 토사가 퇴적된 곳 등에서는 천일사초가 집중반상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lt marsh flora and vegetation in the mouth of Mankyeong river estuary area where has a project for Sea Man Geum Reclaimed Land so that we can foster a foundation on restoration of an ecological habitat, development of applicable plants and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olicy after developing the reclaimed land for salt marsh vegetation which has great ecological valu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10 families 25 genera 29 species and 3 varieties of vascular plants in the Mankyong-river estuary area. These are 0.76%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s. There are also 5 families 6 genera 6 species and 1 varietiy of the naturalized plants which are 7 taxa in total and 3.85% of indicators of naturalized plants. Firstly, a district of low tide marsh has below 5% of vegetation coverage of Suaeda japonica and the vegetation cover was increasing rapidly while moving to a place of high tide marsh which is in the direction to a bank. In general, a range of from low tide marsh to high tide marsh is distributed with sequence of Suaeda japonica→Suaeda maritima→Suaeda japonica→Aster tripolium→Artemisia scoparia→Carex scabrifolia→Zoysia sinica→Phragmites australis→Phacelurus latifolius. Suaeda japonica has the highest dominance among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ster tripolium, Phragmites australis, Artemisia scoparia, Carex scabrifolia and Phacelurus latifolius are distributed as zonation or patch. By the Z-M method eleven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Suaeda japonica, Suaeda japonica-Suaeda maritima,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Aster tripolium, Aster tripolium, Phragmites australis, Carex scabrifolia, Phacelurus latifolius, Artemisia scoparia-Aster tripolium,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and Aster tripolium-Artemisia scoparia 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f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저자
  • 김창환 | Kim, Chong-Hwan
  • 이경보 | Lee, Kyenog-Bo
  • 조두성 | Cho, Du-Sung
  • 명현 | Myoung, H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