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일대의 식생 분포에 대한 연구 KCI 등재

Vegetation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n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간척이 식생 분포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앞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서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식생과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의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 출현한 식생은 모두 염생식물로, 조간대는 3종의 염생식물이 출현하여 단순하였고, 만조대와 기수 지역은 각각 9종과 8종이 출현하여 조간대에 비하여 다양하였다. 식물종은 조간대에서 해홍나물(Suaeda maritima),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및 칠면초(Suaeda japonica)가, 기수 지역의 비침수 지역에서는 해홍나물, 갯질경 및 갯개미취(Aster tripolium)가, 기수 지역의 침수 지역에서는 갯댑싸리 (Kochia scoparia var. littorea)가 우점하였다. 토양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조간대 내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양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Na+ 및 Cl-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식물종 간의 EC 농도는 동일지역 내에서는 유사하였으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는 동일종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식물종의 출현 유무는 토양환경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조간대 및 기수 지역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성과 토양화학성에 따라 다름으로써, 식생의 분포는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f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from 2003 to 2004, to analyze how reclamation affects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The plant growing in these survey areas was all halophytes: the vegetation on the intertidal zone consisted of simply 3 species of halophyte, and vegetation on the high tide zone and estuary area consisted of 9 and 8 species respectively, showing a more varied aspect than the intertidal zone. As for the plant species distribution, the predominant species for the intertidal zone were Suaeda maritima, Limonium tetragonum and Suaeda japonica; the predominant species for the slope zone of estuary were Suaeda maritima, Limonium tetragonum and Aster tripolium, and the predominant species for the inundation zone of estuary were Kochia scoparia var. littorea. At the analysis resul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t was discover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plant species was made at some spots on the intertidal zone whose electrical conductivity(EC), Na+, and Cl- were relatively lower. EC of between the plant species was similar in the same zone, however EC was distinctively different between the same species in the different zone. Our study found out that whether the occurrence of the plant species is possible or not was decided by the difference in soil properties.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s influenced by soil environment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plant species on the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is differentiated by soil textur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저자
  • 김은규 | Kim, Eun-Kyu
  • 정영상 | Jung, Yeong-Sang
  • 정형근 | Jeong, Hyeung-Geun
  • 주영규 | Joo, Young-K.
  • 천소을 | Chun, S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