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고도와 식생에 따라 4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번식기 조류군집과 서식지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 종수는 총 32종으로 각 조사구별 관찰 종수 및 밀도는 고도가 낮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27종, 37.31마리/ha, 고도가 낮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23종, 34.99마리/ha, 고도가 높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18종, 23.95마리/ha, 고도가 높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19종, 20.21마리/ha이었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11종(멧비둘기, 검은등뻐꾸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박새, 동박새)이었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4종(들꿩, 매사촌, 두견이, 흰배멧새)이었다. 조류 종수와 밀도는 고도가 낮은 지역과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소길드는 고도가 낮은 지역은 3가지 유형의 종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층 영소길드의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채이길드는 모든 조사구에서 수관층 채이길드의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별 밀도의 조사구별 차이분석에서 식생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낸 종은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4종으로 그 중 오목눈이와 박새는 수관층의 피도량의 차이, 진박새는 침엽수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5종은 관목층 수목의 밀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내는 종은 10종으로 벙어리뻐꾸기, 굴뚝새, 쇠유리새, 쇠솔새, 진박새, 노랑턱멧새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흰배지빠귀, 오목눈이, 곤줄박이, 동고비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번식조류군집 분포는 관목층의 밀생과 수관층의 총피도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관목층의 피도량과 수관층의 엽층다양성 및 총피도량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relation to altitude and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The survey was carried over 4 study sites by point counts method to figure out habitat environment and breeding bird community from March to August in 2006.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32 species were recorded, and 27 species and density of 37.31 ea/ha in low altitude mixed forest, 23 species and 34.99 ea/ha in low altitude deciduous forest, 18 species and 23.95 ea/ha in high altitude mixed forest, 19 species and 20.21 ea/ha in high altitude deciduous forest, respectively. Eleven spec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low altitude sites, 4 spec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high altitude sites.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high in the low altitude sites, and they were high in the mixed forests. In nesting guild analysis, the low altitude sites are similarly found species number of three types but canopy nesting species in the high altitude sites are advent less. In foraging guild analysis, the species number of canopy foraging appeared most highly in all study sit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each species density. Four species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low altitude sites, owing to vegetation. Long-tailed Tit(Aegithalos caudatus) and Great tit(Parus major) are difference because of difference in volume of canopy layer, and Coal Tit(Parus ater) was difference because of coniferous forest preference quality. Four species(Hazel Grouse, Winter Wren, Pale Thrush, Yellow-throated Bunting)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of the density in the high altitude sites because of thick growth of the bush layer. Ten species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in study sites, owing to altitude. Oriental Cuckoo(Cuculus saturatus), Winter Wren(Troglodytes troglodytes), Siberian Blue Robin(Luscinia cyane), Arctic Warbler(Phylloscopus borealis), Coal Tit(Parus ater), and Yellow-throated Bunting(Emberiza elegans) appeared highly in the high altitude sites, Pale Thrush(Turdus pallidus), Long-taild Tit(Aegithalos caudatus), Varied Tit(Parus varius), and Eurasian Nuthatch(Sitta europaea) appeared highly in the low altitude sites. It seems that bush layer coverage volume and canopy layer total coverage volume do influences on the breeding bird community, because the bush layer was thick growth, and canopy layer coverage volume was difference. It would be needed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bush layer coverage volume and canopy layer with multi-layer structure to increase foliage height diversity and total coverage volume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Jirisan National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