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 주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를 규명하고 17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내 속리산관리사무소~법주사지구의 3.6km2이다. 현존식생 조사결과 전체면적 360ha중 소나무 우점림은 64.7%이었고 소나무-낙엽활엽수 혼효림이 3.2%로 주로 계곡 사면과 능선에 걸쳐 소나무림이 분포하고 있었고 계곡 토지이용지 주변은 소나무와 낙엽활엽수가 혼효된 지역이 산재하였다. 조사구별 평균 상대우점치에 의한 우점종의 구성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천이잠재성이 낮은 소나무군집, 천이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 천이진행중인 소나무군집, 도태중인 소나무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17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결과 소나무군집의 천이경향은 천이잠재성이 낮은 소나무군집(소나무 순림)→천이 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아교목층에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소나무림)→천이진행 중인 소나무군집(소나무-산벚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도태중인 소나무군집(졸참나무-소나무군집, 갈참나무-소나무군집)→낙엽활엽수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나무림 식생관리 방안으로 천이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은 아교목층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천이진행중인 소나무군집은 교목층 낙엽활엽수 가치치기 정도의 소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도태되는 소나무군집은 소나무림이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낙엽활엽수림으로 자연적인 천이가 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nagement method for conserva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vegetation struct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ound Beopjusa area for past 17-year.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was 3.6km2 from maintenance office to Beopjusa area.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vegetation were composed of 64.7% of Pinus densiflora forest, 3.2% of mixed forest of P. densiflora and deciduous broadleaf trees and 5.9% of deciduous broadleaf tree community out of overall area, 360ha. The type of P. densiflora forest were categorized into four communities; community having high potential of succession, community having low potential of it, the community being in the process of succession and community being in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The succession tendency was in order of the community having low potential of succession(P. densiflora forest), having high potential of it(P. densiflora forest which is deciduous broadleaf trees are dominating in sub-canopy layer), being in the process of succession(P. densiflora-Prunus sargentii and P.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being in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Q. serrata-P. densiflora and Q. aliena-P. densiflora community). In terms of vegetation management, P. densiflora forest having high potential of succession was needed to remove deciduous broadleaf trees in the sub-canopy layer and the community being in the process of succession was required to be pruning the branch in the canopy layer. Lastly, the community being in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was suggested to let it be in succession, since it is hard to be in the status of P. densiflora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