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숲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형 개발 KCI 등재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Assessing the Korean Urban For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도시숲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평가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지표는 층위구조, 입지상태, 활엽수구성비율, 식생구성종수 등 17개이다. 평가지표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높은 관계성을 가진 것은 임령(X8)과 공간형성기간(X10)으로 상관계수가 0.684로 나타났으며, 부(-)의 상관성을 가진 지표들은 층위구조(X1)와 위험성(X13)으로 상관계수가 -0.412로 분석되었다. 평가모형구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10개의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총 17개 변수 중 층위구조(X1), 식생구성종수(X4) 등을 제외한 입지상태(X2), 활엽수구성비율(X3) 등 10개의 변수만이 유의확률 9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형의 회귀식과 합산평가 매트릭스법과 비교분석 결과, 모형 3의 회귀식이 정확도 91.7%로써 전체 10개 모형 중 가장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평가모형에 대한 정확도 증진기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iotope model in applying and developing Korean urban forests. We found that there are 17 biotope assessment indicators, including forest layer structure, site conditions, ratio of broad-leaved trees, species richness, etc. In term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icators, the stand ages and the period of space formation have the highest relativity(coefficient 0.684). On the other hand, indicators that have negative relativity are layer structure and risk, with a coefficient of -0.412. Ten models were develop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0 variables(site conditions(X2), ratio of broad-leaved trees(X3) and so forth except layer structure(X1), species richness(X4)) were found to have a 9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from comparing the regression model and adding-up estimation matrix, the most accurate one was Model 3, which has a 91.7% out of the 10 models. However more monitoring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models for the Korean urban forests in future.

저자
  • 오정학 | Oh, Jeong-Hak
  • 권진오 | Kwon, Jin-O
  • 유주한 | You, Ju-Han
  • 김경태 | Kim, Kyung-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