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분석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입지환경요인과 그 생장특성을 밝혀내고, 조릿대군락이 하층식생 및 천연갱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중산리지역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조릿대군락이 분포하는 지역을 조사대상지로 설정하여 식생조사 및 환경요인을 조사했다. 이곳에서 조릿대의 생장특성으로서 조릿대의 우점도 및 높이, 잎층두께를 조사했고, 환경요인으로서 관목층과 지피층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FD),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했다. 또한 조사구에서 지피층에 출현하는 식물상, 목본의 개체수 및 높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로서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높이 및 잎층두께는 빛조건과 밀접한 관계지만, 특정입지환경이나 식생 등의 영향이 단순하게 조릿대 분포 및 생장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조릿대가 영양번식식물로서 복수의 지상간이 지하경으로 연결된 상태로 산림내의 불균질한 자원환경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할 수 있는 조릿대의 독특한 생존전략과 깊게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밀생하고 높게 자란 조릿대는 지피층의 PPFD를 차단하는 것으로 치수발생 및 생장을 방해해 하층식생의 종다양성을 떨어뜨렸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sa borealis community inside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and reviewed its effect on the lower vegetation and natural regeneration. The S. borealis community in the Jungsan-ri region of Jirisan National Park was chosen as the study area, and the veget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dominance value, height and foliage layer thickness were investigated a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 borealis in the area. As the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otosynthesis photon flux density (PPFD) of the shrub and ground layers as well a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flora on the ground layer of the area as well as the number and height of woody pl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height and foliage layer thickness of the S. boreal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ght conditions but the distribution was not determined simply by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r vegetation of the particular area. This may be deeply related with the unique survival strategy of S. borealis, a vegetably propagated plant, that it can extensively distributed on a heterogeneous resources environment in a forest as multiple culm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hizomes. The dense dominance and great height of S. borealis reduced the plant species diversity in the ground layer by decreasing the PPFD on the ground surface.

저자
  • 신현탁 | Sin, Hyun-Tak
  • 윤정원 | Yoon, Jung-Won
  • 이명훈 | Yi, Myung-Hoon
  • 박석곤 | Park, Seok-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