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서남부해역은 하계 양자강의 유출에 의해 저염분 현상이 발생한다. 중국 대통(Datong)에서 지난 65년(19221986)간 장기관측한 자료에 의하면 매년 양자강 유출량은 일정하지 않으며, 최대 유출량은 최소유출량의 2배 이상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양자강의 유출량을 달리하여 저염확산을 수치모델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치모델은 POM(Princeton Ocean Model)을 사용하였다. POM은 연직적으로 Σ좌표계를 사용하는 3차원 해양순환모델이다. 모델 수행 후 연구해역내 대륙사면에서 유속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도 서쪽을 통해 북상하여 황해중앙부로 들어가는 흐름이 있으며, 대륙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흐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자강 유출량을 부여한 후 수행한 모델의 결과를 보면 양자강 유출량이 많을수록 저염분역이 제주도에 가깝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Low salinity water appears by outflow of fresh water from the Yangtze River in southwestern s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ater volume discharged form the Yangtze River is not constant with year,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data recorded in the past, the maximum value of the discharged volume is two times as high asr minimum value.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low salinity water over study area with different discharged fresh water volume is studied using numerical model, Princeton Ocean Model (POM). POM is three 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selecting a Σcoordin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by the Model, current velocity on the continental slope is fast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current which flows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Yellow Sea through western part of Jeju exists, and also, southward flow along the coastal region exists. the greater discharged volume from the Yangrze River is. the lower salinity water appears closer to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