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 - 하구둑 방류량과 기상인자 -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2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1년간 (1996년~2006년)의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구둑 방류량의 경년변동 및 월별특성 즉, 낙동강 하구둑 월별총방류량, 일일평한방류량, 일일최대방류량을 산출하였으며, 하구둑 방류와 하천수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들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의 11년간 총 방류량은 224,576.8×106m3이며 가장많이 방류된 연도는 2003년으로 56,292.3×106m3이다. 월별로는 8월이 23.4%의 52,634.2×106m3으로 가장 많고 7월이 23.1%, 9월이 17.0%의 순이었다. (2) 방류량 패턴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7~9월은 유하량이 많은 홍수기(방류란 100×106m3/day이상), 4~6월 및 10월은 유하량이 보통수준인 평수기(방류량 30×106m3/day이상), 12~3월은 유하량이 적은 갈수기(방류량 16×106m3/dayy미만)로 구분할 수 있다. (3) 방류량과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비교에 있어서는 대체로 기온이 높고 증발량이 적으며 일조시간이 적은 시기에 많은 방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4) 방류량이 많을 경우 주 풍향은 NNE 및 SW, SSW 였다. 이러한 결과는 풍항에 따른 취송류의 영향으로 북풍이 불 경우 담수의 하구 집적화와 남풍이 불 경우 담수가 외해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We estirmted the yearly and monthly variation in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We studied the total monthly discharge, the mean daily discharge, and the maximum daily discharge based on the observational discharge data for the 11-year period 1996-2006. We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and the meteorologim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iver inflow.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onthly discharge for 11 years at the Nakdong River Barrage was 224,576.8×106 m3: The daily maximum was in 2003, with 56,292.3×106 m3. The largest daily mean release discharges occurred in August with 52,634.2×106 m3 (23.4% of the year), followed by July and September in that order with 23.1 and 17%, respectively. (2) The monthly pattern of discharge could be divided into the flood season for the period July-September (discharge =1000×106 m3/day), the normal season from April to June and October (discharge=300×106 m3/day), and the drought season from December to March (discharge 〈 300×106 m3/day). (3) Periods of high temperature, low evaporation loss, and short sunshine duration produced a much higher discharge in general. Conditions of low rainfall and high evaporation loss, as was the rose in 2003, tended to reduce the discharge, but high rainfall and low evaporation loss tended to increase the discharge as it did in 200l. (4) The dominant wind directions during periods of high discharge were NNE (15.5%), SW and SSW (13.1%), S(12.1%), and NE (10.8%) This results show that it run bring on accumulation of fresh water when northern winds are dominant, and it run flow out fresh water toward offslwre when southern winds are dominant.

저자
  • 박순 | Park, San
  • 윤한삼 | Yaan, Han-Sam
  • 이인철 | Lee, In-Cheal
  • 김헌태 | Kim, Hean-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