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유류오염 방제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of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2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방제교육애 관한 IMO 국제기준, 선진해양국 및 한국 유류오염방제교육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리 방제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본적으로 IMO 모델코스를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 교육의 사전 교육으로 방제기초과정을 신설한다. 그리고 단계별로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고 초급단계에서는 현장실습위주로, 상급교육에서는 도상훈련 등 모의훈련 비중을 상향조정한다. 그리고 해안오염에 추가하여 해안방제평가기법 과정을 추가하고, 또한 교육이수자의 최신기술 보완 및 갱신을 위한 보수교육과정을 포함하여 총 9개과정을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carried out the study to develop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for competent responders examining IMO guidelines and response training courses of developed maritime countries as well as Korea. According to a result of study, fundamental training courses are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MO guideline, and also to prepare pre-arranged brief course like Basics of Spill Response for beginner. The courses should be step-by-step related with mutual continuous contents, and more times are given to on-site training for basic course and to classroom lecture with desk-top exercise for advanced course. Besides, SCAT shall be added to shoreline cleanup course, finally it is advisable that total 9 types of courses are established with additional refresh course.

저자
  • 윤종휘 | Yun, Jong-Hw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