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로림만의 이화학적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 KCI 등재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Garorim Bay,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4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2010년에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실시한 황해 어장환경 모니터링 중 가로림만의 11개 정점에 대해 년 6회 짝수 달에 조사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엽록소 a, 입자성부유물질(SPM) 및 영양염류를 분석하여 가로림만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 염분, COD, 용존성무기질소, 엽록소 a, SPM은 표 저층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 조사 항목은 표 저층간의 차이가 없었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정점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 수역의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염분은 8월에 평균 31이상으로 저염분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DO는 농도가 낮은 6~8월에 평균값이 빈산소 수괴 발생 농도인 3mg/L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엽록소 a는 전체적으로 6월 표층 1.68μg/L, 저층 2.38μg/L, 8월 표층 1.68μg/L, 저층 1.57μg/L로 여름철에 가장 높았다. 영양염류는 전체 조사시기별 중에서 2월이 높고 8월이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여름철에 가로림만으로 들어오는 담수유입이 제한받고 여름철에 번식하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해서 영양염이 소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DIN/DIP 비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6월의 경우는 표층 30.52, 저층 37.89로 다른 조사시기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SPM은 2월 저층에서 44.15mg/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결과와 저염분 현상 및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가로림만은 외해의 해수 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작은 하천을 통해 들어오는 담수의 유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해역별 수질등급은 전반적으로 I, II등급의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수산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안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보전이 요구된다.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DO), chemical oxygen demand (COD), chlorophyll-a(Chl. a),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PM) an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Garolim Bay, Yellow Sea, Korea in 2010 carried out six times per year at 11 fixed stations by Korea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COD,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Chl. a and SP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ter but the other parameters didn'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ations. The water temperature showed typical change patterns of the temperate seawater. The annual average of salinity showed more than 31 so that there could not have occurred low saline water. The average of DO from June to August showed over than 3mg/L which showed higher than the below standard value of the hypoxic (oxygen-deficient) water. The average of Chl. a varied 1.68μg/L at surface, 2.38μg/L at bottom layer in June and 1.68μg/L at surface, 1.57μg/L at bottom layer at August.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showed high concentration in February and low concentration in Augus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freshwater input in summer and phytoplankton used to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The ratio of DIN/DIP showed 30.52 at surface and 37.89 at bottom layer in June which was higher than other month. The SPM was 44.15mg/L at bottom layer in February which was the highest value in this study due to the northwest monsoon. Because of the actively water change in the open sea without inflow of freshwater from land in Garolom Bay, there were not occurred low saline water and hypoxic water. thus, this Bay showed good water quality and required to be conserved continuously as important costal area for fisheries.

저자
  • 남현준 | Nam, Hyun-Jun
  • 허승 | Heo, Seung
  • 박승윤 | Park, Seung-Yun
  • 황운기 | Hwang, Un-Ki
  • 박종수 | Park, Jong-Soo
  • 이해광 | Lee, Hae-K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