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1년 진해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KCI 등재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Jinhae Bay, 201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4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진해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을 정량 분석하여 종조성과 분포를 시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군집의 변화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해만 주변해역 15개 정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2회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158종 출현하였으며, 이 중 규조류가 95종, 와편모류가 58종, 유글레나류가 1종, 규질편모류가 4종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각 정점에서 4.0×103~9.0×107 cells·L-1의 범위로 나타났다. Chl.a의 경우 7월 평균 값이 가장 높게(13.19 mg·m-3)나타났으며, 3월 평균 값이 가장 낮게(3.44 mg·m-3)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정량 분석 결과 우점종의 경우, 봄철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schia spp.이 나타났으며, 여름철 Dactliosolen fragilissimus, Pseudo-nitzschia spp., 가을과 겨울에는 Chaetoceros spp.,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여 계절별 종 특이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조사 기간 동안의 질소와 인의 총량의 DIN : DIP비는 진해만 서부 해역은 14 : 1의 비율을 보였고, 진해만 동부 해역은 28 : 1의 비율로 보다 높은 질소의 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총인과 총질소 Chl.a 또한 진해만 서부 해역과 비교하여 진해만 동부 해역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Thalassiosira spp.와 Skeletonema spp.에 의해 진해만 동부해역이, Leptocylindrus danicus와 Pseudo-nitzschia spp.에 의해 진해만 서부 해역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의해서 나뉘어 졌다.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Jinhae Bay for 12 months. Total 158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95 bacillariophyceae, 58 dinophyceae, 1 euglenoids, and 4 dictyochaceae. The total cell numbers of phytoplakton ranged from 4.0×103~9.0×107 cells·L-1. Highest and lowest amounts of cells were found in July (Chl.a 13.19 mg·m-3) and March(Chl.a 3.44 mg·m-3), respectively. Leptocylindrus danicus and Pseudo-nitzschia spp. were dominant in spring, and Dactliosolen fragilissimus and Pseudo-nitzschia spp. were dominant in summer. Chaetoceros spp. and Skeletonema spp. were domonant in autumn and winter. The amou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survey. Higher ratio of nitrogen (DIN : DIP = 28 : 1) was found in the east Jinhae Bay compared to the ratio of the west Jnhae Bay that showed 14 : 1 of N : P ratio. The total amounts of nitrogen, phosphorus and Chl.a were also higher in the east Jinhae Bay compared to the west area. The ge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west of Jinhae Ba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phytoplankton compostion.

저자
  • 박경우 | Park, Kyung-Woo
  • 서영상 | Suh, Young-Sang
  • 임월애 | Lim, Weol-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