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가상수량 산정방법의 적용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Virtual Water Calculation Method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4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가상수(假想水, Virtual Water)란 일정량의 농산물, 축산물, 공산품과 같은 생산품 혹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물의양을 뜻하는 것으로 1990년대 초반 Tony Allan 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hapagain and Hoekstra (2004)이 제시한 농축산물 및 공산품의 단위 가상수량 산정방법을 분석 및 적용하여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우리나라의 가상수 수출입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가상수 수출입을 국가간 정량화하는 방법

Virtual water is defined as the volume of water to produce commodities and provide service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ony Allan since the early 1990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a volume of virtual water trade in Korea from 1998 to 2007 by applyin

저자
  • 안재현(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Ahn Jae-Hyun
  • 이재근(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Lee Jae-Geun
  • 이승호(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iversity) | Lee Seung-Ho
  • 홍일표(Water, Resour) | Hong Il-P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