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복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에 기인한 매크로셀 부식 환경하에서의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 KCI 등재

Corrosion Resistance of Cr-bearing Rebar to Macrocell Corrosion Caused by Concrete with Crac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48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피복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에 기인한 매크로셀 부식 환경하에서의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종류의 Cr강방식철근을 콘크리트에 매입 후 피복 콘크리트에 모사 균열을 발생시킨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그 후 염수 분무 촉진 양생 105사이클까지의 매크로셀 부식전류밀도의 경시변화와 아노드ㆍ캐소드 철근의 자연전위, 부식면적률, 부식감량률을 측정함으로써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화물 이온 농도차 3kg/m3 이하의 매크로셀 부식 환경에 대하여 Cr함유율 9% 이상의 Cr강재에서 방식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Cr함유율 11% 이상의 Cr강재에서 뛰어난 방식성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rrosion resistance of Cr-bearing rebars to macrocell corrosion caused by concrete with crack. Ten types of steel bars having different Cr contents were embedded in concretes with imitation crack.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Cr-bearing rebar was examined by measuring half-cell potential, macrocell corrosion current, corrosion area and weight loss up to 105 cycles of salt spray test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r content required for corrosion resistance in a macrocell corrosion environment caused by chloride ion gap of 3kg/m3 was 9% or more. The corrosion-resisting performance of Cr-bearing rebar was particularly noticeable with a Cr content of 11% or more.

저자
  • 태성호(한양대학교 친환경건축 기술혁신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