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합요인 및 건조상태 변화에 따른 PP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특성 KCI 등재

Spalling Properties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PP Fiber Subjected to Fire Mixture Factors and Drying Con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0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는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토한 것으로써, 폭렬에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물-결합재비, 공기량 및 함수율 등을 PP섬유의 혼입률과 함께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동특성은 섬유의 혼입률이 0.05 vol.% 증가함에 따라 약 11%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기량이 10%인 경우는 다량의 AE제 사용에 기인하여 섬유의 혼입률과 상관없이 거의 유사한 유동성을 나타냈다. 강도특성으로는 W/B 15, 25 및 35%일 경우 100, 80 및 60 MPa이상으로써 고강도 범위로 나타났으며, 공기량 변수의 경우는 H-air가 L-air에 비해 약 1/2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폭렬특성으로는 KS F 2257-1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가열곡선에 의해 1시간 내화시험을 실시한 결과, W/B는 고강도로 W/B가 낮을수록 심하게 발생하는데, 15%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전반적으로 PP섬유의 혼입률 0.10 vol.%에서 폭렬이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기량을 10%로 많이 함유하는 시험체와 완전건조 시킨 시험체는 0.05 vol.% 혼입시에도 폭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spalling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cluding W/B, air content and moisture condition as well as PP fiber contents subjected to fire. An increase with 0.05% of PP fiber resulted in a reduction of slump flow by as much as 11%. Ten percent of air contents due to excessive amounts of AE agent does not lead to variance of slump flow, regardless of PP fiber content. For the effec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high strength concrete with 15, 25 and 35% of W/B gained 60 MPa~100 MPa of the compressive strength. High strength concrete with H-air had half of compressive strength of that with L-air due to large amount of air. Fir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KS F 2257-1 for 1 hour. Spalling did not occur with all specimens containing more than 0.10% of PP fiber except those with 15% of W/B. Moreo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specimens with more than 10% of air content and with oven dried condition, respectively, had no spalling even if the content of PP fiber is 0.05 vol.%.

저자
  • 한천구(청주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 Han, Cheon-Goo
  • 한민철(청주대학교 건축공학부 전임강사) | Han, Min-Cheol
  • 송용원((주)삼표 기술연구소 연구원) | Song, Yo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