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속하중을 받은 FRP 외부부착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KCI 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RC Beams Externally Bonded with FRPs Under Sustained Loa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1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최근 건설 사업에서 FRP를 단순 부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수보강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지속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하여 FRP의 보강효과도 달라지며, 처짐 및 변형의 회복성능, 잔존 내력 역시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CFRP, GFRP가 휨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보강 성능을 파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하중을 제거하여 장기 변형 및 처짐의 회복성능을 파악하고, 잔존하는 내력을 알아보고자 정적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FRP 보강 실험체는 즉시 처짐을 제어하는 측면은 매우 효율적이고, 즉시변형 회복량 또한 즉시 변형량보다 큰 결과를 보였다. 잔존강도 실험을 통하여 CFRP로 보강된 실험체가 가장 큰 내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RP로 보강된 보는 지속하중에 의한 부착성능 및 잔존내력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recent construction industry, an external strengthening method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s has been widely used. Sinc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s are always under sustained loads, influence of creep and shrinkage on the structures is inevitable. Due to the creep and shrinkage, behaviors of the structures, such as deflection, deformation, recovery capability, strength and so on are also under the influence of creep and shrinkage. Thus, in order to estimate efficacy, creep recovery and residual strength of FRP strengthened RC beams, long-term flexural experiments and static flexu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FRP strengthened RC beams were very effective in terms of deflection control. Furthermore, the strengthened beams had higher immediate deformation recovery than immediate deformation. Through the static flexural experiments, it was shown that the CFRP strengthened beam had high residual strength. It seems that the sustained loads did not affect bond and residual strength of the beams.

저자
  • 심재중(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Shim, Jae Joong Corresponding author
  • 오광진( 한국시설안전공단 기술개발팀) | 오광진
  • 김연태( 서울산업대학교 건설공학부) | 김연태
  • 박선규(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박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