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철도터널내 화재시 내화성능 평가를 위한 기준 제안 및 화재 온도 평가 KCI 등재

Standard Proposed for Fire Safety Evaluation of Railway Tunnels and Evaluation of Fire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1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내 화재시 터널내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간-온도곡선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철도터널건설과 터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터널연장이 길어짐에 따라 터널 내 화재사고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철도터널의 화재빈도수는 적지만 화재시 인명과 교통차단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는 막대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철도터널 화재에 대한 적합한 시간-온도 곡선을 규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의 통행량, 차량 종류 등을 고려한 열방출율을 기초로 외국에서 제시된 시간-온도 곡선을 검토해 보았으며 국재 실정에 가장 적합한 설계화재 모델을 제시하였다. 탄화수소(HC)시간-온도 곡선이 국내 철도터널의 설계화재모델로 가장 적합하였으며, 탄화수소 시간-온도곡선에 의한 철도터널 구조체의 온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콘크리트터널 구조체의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The number of railway tunnel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lthough fires in long railway tunnels are rare, the consequences can be devastating. Prior to this study, there were no adequate time-temperature curves for the fire safety assessment of Korean railway tunnels. We studied a standard foreign time-temperature curve for which the heat rate is based on the traffic and the types of vehicles. We then proposed a hydrocarbon curve as a fire design model for railway tunnels in Korea. W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is proposed model on railway tunnel structures using numerical analysis.

저자
  • 원종필(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 Won, Jong Pil Corresponding author
  • 최민정(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 Choi, Min Jung
  • 이수진(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 Lee, Su Jin
  • 이상우(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 Lee, Sang 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