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콘크리트 강도대별 크리프 예측모델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Creep Models with the Consideration of Concrete’s Strength Le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1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최근들어 구조물공사에 적용되는 콘크리트가 고강도화 되어가는 추세로서 크리프와 같은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기존 설계 예측식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상의 크리프계수 예측 모델식에 대한 강도대별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존의 제안 모델식인 ACI 209R, CEB-FIP MC90 및 EC2 모델식을 검토 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모델식 검토결과, CEB-FIP MC90 모델의 개선식인 EC2 모델이 고강도대의 콘크리트에 대한 크리프계수를 보다 현실적으로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결과와도 상대적으로 좋은 상관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Recent concrete structures have been being constructed with higher strength concrete than normal strength concre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pplicabilities of current design codes and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mechanical behaviors of concrete materials such as creep.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creep model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level of concrete, three current models (ACI 209R, CEB-FIP MC90 and EC2) were studied and compared with series of experimental results. It was shown that EC2 model which is the updated model of CEB-FIP MC90 better predicts creep coefficient for high strength level concretes and showed relatively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data.

저자
  • 문재흠(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Moon, Jae Heu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