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장교 가이드 파이프 앵커 형식에서의 정착강관 설계절차 KCI 등재

Design Process of Fixing Pipe in Guide Pipe-Anchor System for Cable-Stayed Brid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2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최근 들어 인천대교 등 다수의 사장교가 공용 또는 시공 중에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 사장교의 기술력을 살펴본다면 시공기술은 눈에 띄게 발전하였지만 설계기술은 아직 국외 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사장교 핵심설계요소들 중 케이블 정착구조는 강력한 케이블 장력의 작용으로 국부적인 응력집중현상이 발생하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반드시 국부상세해석에 의한 설계가 요구된다. 하지만 명확한 설계기준이나 이론적 설계 없이 유한요소해석에만 의존하여 설계하는 실정이며 정착구조의 이론적 기본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채 유한요소해석 결과에만 의존, 엔지니어의 판단력이 흐려지는 부작용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정착구조 가이드 파이프앵커 형식 중 정착강관의 기존 이론적인 설계절차를 나타내고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국내외 설계기준에 따라 정리하고 보완 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

These days, many cable-stayed bridges we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in Korea. At the moment, construction technology of cable-stayed bridges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but design technology still relies upon foreign technology very much. The cable anchor system that is one of key technologies of cable-stayed bridge brings powerful cable tension to produce local stress concentration and to disturb stress seriously, so for safety must be designed by a local detailed analysis is required. But without a clear design standard or design theory relying on F.E.M, and engineers don’t understand theoretical basic mechanism of cable anchor system. As a result, engineers can be lose their judgem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oretical design flow of fixing pipe in guide pipe-anchor system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in accordance with design standards at home and abroad to keep them in order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design flow.

저자
  • 홍성남(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공학박사) | Hong, Sung Nam
  • 박선규(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Park, Sun Kyu
  • 박병건(삼성물산 주임, 공학석사) | Park, Byung G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