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文科 語彙 領域의 評價 方向과 實際 KCI 등재

The Direction and the Practice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Evaluation

한문과 어휘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의 학습목표에 따른 문항 개발 방향에 목적이 있다.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評價의 양상을 보면 내용 체제면에서 漢字語는 대영 역이었고, 語彙는 중영역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그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에 따른 漢文科의 위상 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漢字語領域의 내용 요소를 한문지식의 어휘로 일부 흡수, 통합한 것이다. 내용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漢字語를 통 한 言語生活의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 보다 문법적인 측 면을 더 강조하였다. 전국단위 評價問項을 보면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약 30%정도 차지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현장의 評價에서도 ‘단어의 짜임’, ‘허사의 쓰임’, ‘성어의 의미’와 관련한 평가 문항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 다고 해서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줄어 들 것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국가수준의 시험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영역인 漢字語領域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의 語彙領域으로 바뀌어 1:1의 관계로 볼 수는 없지만 상당한 부분에서 공통 요소 를 가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漢字語가 가지는 위상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는 문법 중심으로 일부 축소, 심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漢文敎育에 있어 語彙領域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유효하다. 語彙領域의 평가는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 야 한다. 語彙領域이 한문과의 다른 평가요소 보다는 문법적인 기능에 대한 평가 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편적, 일회적 지식이나 기초적 문법기능 측정에 편 중되는 것을 지양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 도록 ‘한문’ 영역과 ‘한문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문법적인 측면의 문항 몇 개를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향후 語彙領域의 문항이 전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漢字語彙의 유형‘ 이나 ’成語의 의미‘를 묻 는 문항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based on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aspect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of the revised curriculum, it can be seen as the following; in terms of contents, the Sino-Korean word was the major area and the vocabulary was the mid area, and their range was reduced in terms of format. Some of the existing content factors of the Sino-Korean word were absorbed and integrated to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knowledge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condition of the Sino-Korean education given the nationwide form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time assigned to the subject.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 language use through the Sino-Korean word, whereas the revised curriculum put more stress on the grammatical area. Th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take up about 30% in the nationwide evaluation questions. The evaluation questions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words’, ‘the usages of the expletive’, and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are also largely tested in the field school evalu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wouldn't seem to be reduced despit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wide tests wouldn't as well. Although it can't be considered as 1:1 relationship, because the area of the Sino-Korean word which used to be the major area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altered into the mid area, they share common factors largely.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Sino-Korean education is still valid though the status of the Sino-Korean word was reduced while the grammar was intensifi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area of vocabulary, the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the achievement and on the usage of the basic knowledge. Although the area of vocabulary takes large part, a thoughtful caution should be paid in order to avoid giving too much importance on the fragmentary, momentary knowledge or on the measurement of the basic grammar functions, and the categories of the 'Sino-Korean' and 'Sino-Korean knowledge' should be integrated and tested organic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leaners' high mental abilities. In this thesis, some of the questions of the grammatical aspects are suggested as an example. However, that doesn't mean that the futur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should be generally like this, otherwise, it is just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stead, the questions asking ‘the types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or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목차
Ⅰ. 序論
Ⅱ. 語彙領域 評價의 目標와 範圍
Ⅲ. 語彙領域 評價의 樣相
Ⅳ. 語彙領域 評價의 實際
Ⅴ. 結論
저자
  • 安東奎(軍浦高等學校校長) | 안동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