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ffective domai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1 textbooks in middle school
2010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새로운 한문 교과서로 수업을 받았다. 개정 교 육과정이 반영되어 검정된 15종의 교과서 중 한 권으로 수업을 받았다. 개정 교육 과정에는 ‘읽기’의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교과서들은 ‘읽기’ 영역을 반영하려는 노 력이 있었다. 2010년 읽기의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것에 이어 이 논문에서는 읽기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교육과정 해설에서 학습내용과 요소를 추출하여 정의 적 영역의 범주를 설정한다. 범주를 5개로 정리하였고, 각 교과서가 5개 영역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이후 정의적 영역을 반영하는데 있어 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범주로 설정한 5개 부분을 반영함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문장(단문, 산문, 한시)의 내용과 주제, 선인들의 삶과 지혜 이해 및 건전한 가치 관, 바람직한 인성 함양의 영역은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나, 문장(단문, 산 문, 한시)의 특수한 표현 방식, 전통문화의 바른 이해 및 창조적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의 영 역들은 학습목표에 언급하는 정도일 뿐이었다. 구체적인 문제점은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반영 방법이 한․중․일 삼국의 한자나 문화에 대한 비교 설명이 전부였고, 양도 그리 많지 않았다. 실제로 태도를 기르는 것이 목표인데, 비교하여 인식하는 정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또한 정의 적 영역의 학습목표 진술에서도 적절한 서술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비단 현재의 문제만은 아니었다. 차후 정의적 영역의 교육 목 표에 관심을 쏟아 인지적 영역과의 형평성 문제 및 변화하는 사회에서의 바람직 한 인성 함양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2010, the 7th graders of Korean middle schoo lstarted to use the new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textbook in class, which was one of the 15screened samples reflecting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Reading as a part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ll the textbooks have obviously tried to develop Reading part. Following the cognitive analysis of textbooks in 2010, this thesis is mainly focused on the affective domain of textbook Reading. This paper created 5 different categories of affective domain based on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learning elements of Curriculum Explanation. It analyzed how each textbook fulfilled each category. The final stage was to pose problems of including affective domain in textbooks and mak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m. As a result, most of the textbooks did not satisfy the 5 categories fully. Though they had quite successful contents teaching subject of sentences (short sentence, prose, Chinese poem), life and wisdom of ancestors and healthy values, cultivation of desirable character, the categories of special expression of sentences(short sentence, prose, Chinese poem),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fostering attitude to inherit it creatively, efforts to promote cultur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with the countries using the Chinese Characters were just mentioned as learning objectives without any follow-up activities. The main problem lied in the way to reflect culture of Chinese Charaters in the textbooks. It was confined to simple comparison of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amount of contents was also very limited. In spite of the goal fostering those attitudes, the textbooks barely presented comparison and recognition. In addition, they lacked proper descriptive terms to state objectives of affective domain. This problem is not simply a matter of the present. All in all, textbooks need to work more on developing affective domain to be balanced with cognitive domain while building desirable characters required in this changing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