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표피항상성과 건조피부의 관리 KCI 등재

Epidermal Homeostasis and Dry Skin Man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5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피부장벽을 포함한 표피층은 인체의 조직 가운데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기관이다. 다시 말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표피세포의 형성, 분화 및 탈각과정이 반복되면서 표피항상성(epidermal homeostasis)을 유지한다. 표피항상성은 피부기능 가운데 가장 주요한 기능인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의 확립으로 연결된다.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는 각질층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표피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심 조절인자로서 nuclear hormone receptor (NHR)가 중심에 있음이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들은 각질세포 특이적인 단백질, 즉, involucrin, loricrin 및 trans-glutaminase 1 (TG 1) 등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할 뿐 아니라 표피 지질성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등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brick 및 mortar의 생성과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HR 가운데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or receptor (PPAR)와 liver X receptor (LXR)의 activator/ligands가 리놀레인산 등 지방산, leukotriene, prostanoid 및 oxygenated sterol 등이 지질대사과정에서 형성된 지질 종류인 까닭에 liposensor로도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liposensor들을 비롯한 PPAR과 LXR activator/ligands들은 피부장벽기능이 저해된 아토피성 피부를 포함하여 건조피부를 관리하는 epidermotherapy의 수단으로서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Epidermis is one of the most dynamic organs in the human body. Multiple layers of keratinocytes in the epidermis continuously undergo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desquamation cycles, which is the bases of maintaining the epidermal homeostasis. Epidermal homeostasis eventually leads to establish and maintain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epidermis. The permeability barrier is located in the stratum corneum. Tightly coordinated regulations are required for the sustained normal barrier function. Extensive studies have established that several nuclear hormone liposens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 PPARa, PPARb/d, PPARg and LXRs are expressed in keratinocyte. Activation of PPARs and LXRs could provide a mechanism to coordinate the formation of the corneocytes and extracellular lipid membranes that constitute the stratum corneum. Topical application of PPAR/LXR ligands to murine skin results in the increased expression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s, such as involucrin, loricrin, profilaggrin, and trans-glutaminase 1, which would stimulate cornified envelope formation. In conclusion, topical application of ligands or activators of PPAR/LXR as an epidermotherapy would be a promising option to deal dry skin conditions such as atopy.

저자
  • 박장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