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메이크업 트렌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Makeup Trend of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6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총설에서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나타나는 메이크업 트렌드에 관한 이론 고찰을 통해 관련성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업계 및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사회 문화적인 특징으로는 상호작용성, 기술지향성, 감성지향성, 시공간의 혼재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메이크업에서 전개되고 있는 트렌드의 유형은 상호작용성, 가상성, 유희성, 이동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채택하는 양상은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절충적인 혼합을 통해 과거에 있어왔던 스타일이나 장르와의 혼합과 병치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으로 인한 트렌드가 메이크업 트렌드와의 완전한 일치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인간의 외형미를 표현하는 전체 틀 속에서 동질성과 유사성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생성되면서 사회가 특정한 국가간의 경계를 넘어선 다양한 장르의 혼합 및 붕괴의 복합적인 디지털 사회의 현상으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 경향이 메이크업 트렌드에서 보여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oretical examinations into the makeup trend shown in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reby determine potential associations of makeup trend with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ze said trend, so that it can provide reference materials required for follow-up studies.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ar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interactivity, technology-orientedness, sentiment-orientedness and mixture of time and space. Secondly, it is found that trends developed in makeup fall categorically into interactivity, virtuality, amusement and mobility. Thirdly, it is found that each type of digital communication adopts a mixture and juxtaposition of contemporary styles or categories with traditional ones through eclectic combination based on open-minded and horizontal ideas. Fourthly, it is found that a trend from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doesn't coincide perfectly with any makeup trend, but the former trend works interactively and organically with the latter trend on the basis of homogeneity and similarity within a general framework that represents external esthetics of human being. With the creation of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our contemporary society forms as the complex phenomena of digital society in a combination and destruction of different categories beyond any certain international boundary, so that a hybrid tendency appears in contemporary makeup trend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gives a new viewpoint based on desig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styles of makeup, and also provides useful reference materials for related industrial sectors.

저자
  • 방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