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궁으로부터 분리된 ferulic acid의 히알루론산 생성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 of Ferulic Acid Isolated from Cnidium Officinale on the Synthesis of Hyaluronic Aci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7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히알루론산(HA)은 피부의 세포외기질을 구성하는 주성분이다. 인간의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것은 노화에 따른 피부 수분 감소, 주름 형성 및 피부 탄력 저하에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 HAS)들 중에 HAS-2가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궁으로부터 분리된 ferulic acid가 사람의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Semi-quantitative RT-PCR과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통해 ferulic acid가 HAS-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ELISA assay를 통해 ferulic acid가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ferulic acid는 피부 노화에 따른 히알루론산의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건조, 주름및 탄력 저하와 같은 현상을 개선시킬 가능성을 가진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Hyaluronic acid (HA) is one of the major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in skin. The HA content is reportedto decline with age, which may contribute to decrease in skin moisture, wrinkle formation and the decrease in elasticityof the skin. Among the family of HA synthase genes (HAS-1, 2, 3) identified so far, HAS-2 plays crucial roles inthe regulation of HA synthesis in human skin fibroblasts.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s of ferulic acid isolatedfrom Cnidium officinale on HA production. Semi-quantitative RT-PCR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showed that ferulicacid increased mRNA level of HAS-2 gene and ELISA assay also revealed that ferulic acid increased HA productionin human skin fibroblasts. Our study suggests that ferulic acid might prevent age-dependent skin deteriorations suchas wrinkles, dryness and elasticity decrease, all of which could be ascribed to the reduction of the HA content in humanskin.

저자
  • 송혜진((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Hye Jin Song
  • 진무현(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진무현
  • 이상화(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