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유역 하천유량 예측모형 구축 KCI 등재

Streamflow Forecast Model on Nakdong River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7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관측유량 자료동화기법으로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연계한 SURF 모형을 낙동강유역에 적용하여 하천유량예측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낙동강유역을 43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2006년과 2007년의 홍수기간 동안 12개 평가지점에 대해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관측유량 자료동화 효과로 인해 예측유량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1~5시간의 예측선행시간별 유효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자료동화로 인해 46.2~30.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ejong University River Forecast (SURF) model which consists of a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and measured streamflow assimilation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technique for streamflow forecast on Nakdong rive

저자
  • 이병주(Hydrometeorological, Resources, Research, Team Applied, Meteor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Lee Byong-Ju
  • 배덕효(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Bae Deg-H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