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 Pixels >를 통한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상호텍스트 사례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Intertextuality Cases in Games and Animations through “Pixe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77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스마트폰의 발달로 게임 플랫폼이 확대되면서 <팩맨>, <스페이스인베이더>와 같은 고전게임이 스마트폰으로 이식되었다. 고전게임이 재조명되는 이런 현상은 게임뿐 아니라 영상미디어의 영역까지 확장되었는데, 이는 고전게임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게이머들에게 이슈가 되었지만 게이머의 경험과는 다른 시선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아 아쉬움을 남겼다. 본고는 영상미디어에서 게이머의 경험을 재현하지 못하는 이유가 게임과 영상미디어 사이의 상호텍스트성에 있다고 보고, 잘 된 상호텍스트의 사례로써 <Pixels>를 분석하였다. <Pixels>에 사용된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한 결과 단순 표상 나열이나 패러디 외에 게이머만이 알 수 있는 요소들을 인용, 요약, 짜깁기, 풍자적 희화하여 게이머들의 경험을 재현하였고, 비게이머들에게도 종래에는 보지 못했던 신선한 연출로 대중성을 고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spread of game platforms fueled by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such classic games as <Pac-Man> and <Space Invaders> have been transplanted in smartphone and visual media. Which stirred an issue among gamers because classic games were the materials used. However, there i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because it develop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from the experiences of gamers in many case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reasons why the experiences of gamers were not reproduced in visual media lay in intertextuality between games and visual media, this study analyzed “Pixels” as a case of good intertexts. The analysis results of intertextuality in the game show that it applied quotation, summary, mending, and satirical travesty to the elements only known to gamers in addition to a simple arrangement of representations and parody, thus succeeding in reproducing the experiences of gamers. It also took into account popular appeal with a fresh direction not familiar to non-gamers.

저자
  • 곽이삭(고려대학교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전공) | E-Sac Gwa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