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주지역에서 강남스타일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류로써 K-pop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of Popular Korean Entertainment Content - A Success Case of ‘Gangnam-style’ Song in the United St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2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이 연구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한국과는 문화적 차이가 큰 미국에서 어떻게 문 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수용될 수 있었는지 강남스타일의 수용과 유통을 통해 향후 K-POP의 발전가능성을 진단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 거주 하는 18세 이상 성인 중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한번이라도 시청한 사람들은 대상 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분석결과 몇 가지 흥미 있는 결과가 나왔는데 , 우선 강남스타일과 같은 K-pop의 수용은 미주지역에 거주하는 백인보다는 유색인종 이 주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K-pop을 시청한 이후 이를 확산시키기 위한 행 동에서는 백인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또 강남스타일은 노래와 춤, 가수가 한데 어우러진 잘 만들어진 뮤직 비디오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 이외에 강남스타 일의 확산에는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가 상당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The current trend of rapid globalization of culture and popularity of Korean ‘Hallyu’ in Asia has development of Korean entertainment content. Although existing studies argue exploded dthat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been mainly successful in neighboring countries due to the cultural discount, a recent spotlight on the Gangnam-style song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Western countries, demonstrates that the foreign cultural content can be successfully absorbed and disseminated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this extraordinary phenomenon by conducting carefully constructed survey.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discount is still essential factor to accept foreign cultural content; however, data also indicates that there are other factors to consider. Also, there is distinction between a group who accepts Korean cultural content and those who spread it. The cultural discount does not play a particular role when it comes to disseminating Korean cultural content. Lastly, the study data strongly shows that the power of content itself is the key to success of Gangnam-style song; also, viral influence of Internet cannot be underestimated.

저자
  • 김희경(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강사) | Kim, Hee Kyung
  • 정보라(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과정) | Jung, Bo Ra
  • 심미선(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Shim, Mi 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