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터럿-타이 모델에 의한 강절점 영역설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Design of Rigid Joints Using Strut-Tie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3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뼈대구조물의 강절점영역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휨모멘트의 작용방향에 따른 절점영역 내부의 응력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헌치를 갖는 강절점영역의 설계에 있어서 현행의 도로교설계기준이 유용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선형탄성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휨모멘트의 작용시의 헌치를 갖는 절점영역내부의 응력상태를 파악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스터럿-타이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스터럿-타이 모델은 선형탄성유한요소와 동등수준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양한형태의 헌치를 갖는 강절점 영역의 보강철근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design rigid zone area of frame structures,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direction change of internal stresses according to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joint region.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whether current highway bridge design standards are useful to design different types of rigid joints having a various haunch shapes. In addition, stress distributions of inside of various rigid joints were inspected using the linear e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analysis, the strut-tie models to design rigid joints are proposed. Suggested by this study, the strut-tie models have a same level of accuracy to a linear e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The proposed strut-tie models will be useful to design reinforcement detailsof rigid joints having a various haunch types.

저자
  • 원대연(정회원, ㈜지아이에프 대표이사) | Dae-Yon W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