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규모 농업용 전대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와 조류발생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Aquatic Environment and Algal Bloom in a Small-scaled Agricultural Reservoir(Jundae Reservoi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5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축산과 농경배수가 주요 오염원인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전대저수지에서 2011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수환경 변화와 조류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부영양화된 소형저수지에서의 수환경과 조류발생 (Algal bloom)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13년의 경우 전년에 비해 강우가 적은 사실을 제외하면 기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전대저수지의 TN, TP등 영양염류농도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발생원인이 상이하였다. 조류발생과 수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가 많은 항목에서 중상관(r›0.25)의 관계를 보여주어 부영양 호소에서 COD 발생과 조류발생이 매우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을 짐작케 했다. 전대저수지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6과 40속 62종이었으며, 현존량은 1.3×104~2.8×106 cells mL-1로 TN, TP의 농도 감소와 함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도 연차별로 점차 감소 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남조류인 Anabaena sp., Oscillatoria sp., Microcystis sp. 등이었으며, Oscillatoria sp.의 우점 빈도가 가장 높았다. 수온이 증가하면서 Anabaena sp., Microcystis sp., Oscillatoria sp. 순으로 우점종이 변화하였으며, TN이 높은 경우 Anabaena sp., TP가 높은 경우 Microcystis sp.가, TN과 TP가 낮은 경우 Oscillatoria sp.가 우점하였다. N/P ratio는 Anabaena sp. 우점시 가장 높았고, Oscillatoria sp. 우점시 가장 낮았다. Chl-a 농도는 Oscillatoria sp. 우점시 높게 나타나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Anabaena sp. 우점시 높게 나타났으며, Microcystis sp. 우점시에는 Chl-a와 현존량 모두 낮았다. 이를 통해, 오염이 심각한 소형저수지에서는 Microcystis sp.보다 Anabaena sp.와 Oscillatoria sp.에 의한 대발생이 주로 문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Anabaena sp.가 우점할 때는 수환경 요인간의 상관계수가 높아 예측과 관리에 활용이 가능한 반면 Oscillatoria sp. 우점시에는 Chl-a 상관성이 낮게 나타나는 등, 조류대발생을 신속하게 예측하고, 예방, 관리하기 위해서는 조류발생 환경과 원인종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and algal bloom, and provide inform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algal diversity in the Jundai reservoir from March 2011to October 2013. Little change in the weather conditions was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except for a slight decrease in rainfall. Concentration of TN and TP in the reservoir exceeded water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gal growth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observed. Phytoplankton in Jundai reservoir included 6 classes, 40 genus, 62 species,and the phytoplankton abundance was in the range of 1.3××104~~2.8××106cells mL--1. The annualaverage of phytoplankton abundance and Chl-agradually decreased as TN and TP concentrationsdecreased. Overall Anabaenasp., Oscillatoriasp., and Microcystissp. were the dominant species inJundai reservoir.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dominant species were Anabaenasp.,Microcystissp. and Oscillatoriasp., in that order. Anabaenasp. was dominant from spring to earlysummer with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high correlation withenvironmental factors was observed. Microcystissp. was dominant depending on changes in thenutrient levels. In the case of Oscillatorias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biomess and Chl-a. Howeve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environment and practicalcontrol of algal bloom in small scale reservoir polluted by livestock and farm irrigation should beachieved by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gal growth and environmental factors.

저자
  • 남귀숙(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Gui-Sook Nam Corresponding author
  • 이의행(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Eui-Haeng Lee
  • 김미리내(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Mirinae Kim
  • 배요섭(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Yo-Sup Pae
  • 엄한용(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Han-Young 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