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로쇠나무 천연림의 지역별 군집구조, 시과 및 엽 형태 KCI 등재

Studies on the Community Structure, Samara and Leaf Shape of Three Natural Acer pictum subsp. mono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시과 및 잎의 형질의 변이를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 지역(강원도 양구군, 경상북도 영양군 및 전남 광양시)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열매와 엽형태를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양구 19.8%, 영양 22.0% 및 광양 17.1% 등으로 비교적 낮고, 중층에서도 양구와 광양에서는 고로쇠나무의 상대우점치(IP)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나무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는 양구 1.8%, 영양 1.9%, 광양 0.0% 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천연림의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앞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시과의 각도와 길이는 지역 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양구에 비하여 영양과 광양지역에서 7개의 장상맥을 가진 개체가 보다 많이 분포하였다. 부거치가 발달하는 잎의 비율은 양구 0.6%, 영양 15.8%, 광양 2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가 있음을 암시하며,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o examine the forest structure and variation of samara and leaf shape of Acer pictum subsp. mono (APSM), We investigated forest structure and samara angles and length, and leaf shape in three natural population of APSM in Yanggu-gun, Youngyang-gun and Kwangyang-si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3. 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in Yanggu 19.8%, in Youngyang 22.0%, and in Kwangyang 17.1%, respectively. In middle layer, importance percentage (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than that of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In lower layer, importance percentage (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in Yanggu 1.8%, in Youngyang 1.9%, and in Kwangyang 0.0%,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MIP of APSM in natural population might be reduced in future. Angles between wings and samara lengt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stricts. APSM with seven palmate vein leaf are distributed more frequently at Kwangyang and Youngyang than Yanggu. Percentages of biserrate leaf is shown in Yanggu 0.6%, in Youngyang 15.8%, and in Kwangyang 20.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ies genetic variation in natural APSM popula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e genetic variation analysis in natuel population of APSM should be needed.

저자
  • 김갑태(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Gab Tae Kim 교신저자
  • 김회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Hoi Jin Kim
  • 이재현(상지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 Jae Hye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