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 유산균 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fructose 이용능이 우수한 유산균 JS1을 선발하였고,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Weissella cibaria와 99.8% 일치하여 W. cibariaJP0080이라고 명명하였다. 오디 착즙액은 40%, 30%, 20%,10%로 희석하였고 fructose로 보당하여 1%로 당 농도를 맞추었다. 4가지의 오디용액에 선별한 균주인 W. cibaria JP0080을 접종하여 생육특성을 측정하였다. 오디유산균 발효음료의 생육특성으로는 2시간대부터 대수증식기로 들어가6시간에 이르기까지 급격히 성장하다가 8시간 이후부터 정지기에 들어서고, 생균수는 2시간대부터 급격히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냈으며, 8시간에 2.21×1010~2.14×1011 CFU/mL로 조사된 것으로 보아 증식이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pH는 발효 전 4.9에서 2시간대부터 급격히 내려가 6시간대에4.03, 12시간대에 3.59까지 내려갔으며 산도는 희석 배율에 따라서 다르지만 기존의 유산발효 음료의 보고보다 상위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오디 유산균 발효음료의 소비자 조사 결과는 맛과 전체적인 평균점수에서 40%음료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색상, 향기, 전반적인 수응도에서 30% 음료가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40~20% 음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향후 기호도면에서 뒤지지 않으면서 경제성 면에서도 우수한 20%의 오디유산균 발효음료의 개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에 기호도와 경제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20% 오디 유산균 발효 음료의 기능면에서의 우수성을 알아보고자 HPLC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디착즙원액을 20%로 희석하여 12시간 발효한 각 50mL에 대하여 HPLC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 함량은 발효 후 0.75mg/L로 발효 전보다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Quercetin은 0.89mg/L에서 1.05mg/L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20% 오디즙을 희석하여 제조한 오디 유산균 발효음료가 가장 양호한 생육과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기능성 또한 발효 후에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오디 유산균 발효음료의 개발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r prepration of fermented mulberry beverage by lactic acid bacteria, one strain was isolated from mulberryfruit. The strain has high fructose utilization ability and was identified as Weisella cibaria by 16S rRNA sequence analysiswith 99.8% identity. The strain was named as W. cibaria JP0080. W. cibaria JP0080 was inoculated in the diluted mulberryfruit juice (10, 20, 30, 40 and 50%) with final 1% sugar concentration. The strain reached the log phase within 2 hours andthe stationary phase within eight hours with viable cell count of 2.21×1010~2.14×1011 CFU/mL. It showed the strain can begrowth rapidly in diluted mulberry fruit juice. The pH was rapid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from 4.9 (before fermen-tation) to 4.03 (2 hour) and 3.59 (6 hour). Undiluted mulberry juice showed highest acidity level independently fructoseaddition and more diluted mulberry juice showed less acidity after fermentation. For sensory test, 9% fructose was added infermemted mulberry juice and performed filtration. The results of overall preference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while fermendted 10% juice showed significantly low. After 12 hour fermentation of diluted mulberry juice (20%) showedslightly decreasing of isoquercitrin concentration from 1.06 to 0.89mg/L, while quercet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0.75 to 1.05mg/L. To conclude, 20% mulberry juice is ideal material for develpoment of mulberry fermented be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