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도 덕항산 석회암지대 산림식생의 군락지리 특성 KCI 등재

Syn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Vegetation in Limestone Areas, Mt. Deokhang, Kangwon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0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석회암이 나출되어 있는 덕항산지역 주요 산림식생을 중심으로 그 유형을 분류하고 군락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덕항산 능선부 일대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신갈나무군락군), 3개 군락(개회나무-조록싸리군락, 소나무-철쭉군락, 소사나무-솔체꽃군락), 2개 군(소사나무-회양목군, 까치박달-사창분취군), 2개 소군(들메나무-부채마소군, 털댕강나무-솔나리소군)으로 총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덕항산 군락지리형은 지형적 특이성, 아고산지대와의 인접성, 석회암 지대 등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배수가 잘되는 약건조지에 출현하는 털대사초, 가는잎그늘 사초 등의 고상재도는 석회암지대의 토양환경을 잘 대변해 주고 있으며 북방계 식물인 싸라기사초, 돌좀고사리 등은 인접한 아고산 식생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소사나무의 출현은 서식지 특이성에 의한 피난식생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지역의 군락지리학적 특이성은 서식지 및 식물지리적 특이성이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식생학적 측면에서 한반도 군락 및 서식지 유형의 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major forest vegetation and analyzed the syn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the Mt. Deokhang with exhumed lime rocks.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Mt. Deokhang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3 communities, 2 groups, and 2 subgroups, 5 types in total. The syngeographical form of Deokhangsan fully exhibited the topographical peculiarity, proximity to subalpine, and limestone zone. In addition, Carex ciliato-marginata, Carex humilis var. nana, and so forth which appear as species with high consistency in the well-drained semiarid zone represent the soil environment of the lime stone area and northern plants such as Carex ussuriensis and Asplenium ruta-muraria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alpestrine in close proximity. Moreover, the Carpinus turczaninowii in the area appear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vegetation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habitat. The syn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rea show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and phytogeographic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in community and habitat form in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vegetation science.

저자
  • 배관호(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Kwan-Ho Bae
  • 김준수(경북대학교 임학과) | Jun-Soo Kim
  • 조현제(안동대학교 생명자연과학부) | Hyun-Je Cho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Weon Yun
  • 조용찬(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Yong-Chan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