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얘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펑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였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수확시 건물함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2.8%, 21.9% 및 29.8%로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0,346, 15,819 빚 18,336 kg/ha였으며, TDN 수량은 6,288, 9,550 및 10,178 kg/ha였다. 유기 사일리지의 pH는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4.70, 4.03 및 5.37로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청보리의 수확시기가 늦어 짐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방, NFC 빚 TDN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NDF 및 ADF 함량은 증가 하였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사일리지의 예건과 싸라기의 첨가는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을 감소시키고, NFC와 TDN 함량은 증가사켰다. 사일리지의 건물 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건물소화율이 증가하였다. 유숙기가 다른 수확시기보다 젖산과 총유기산 함량은 높고 낙산 함량이 낮아 총유기산 중 젖산함량이 가장 높았다.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한 젖산 함량 증가 효과는 출수기가 다른 수확기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 청보리 사알리지 제조를 위한 수확적기는 유숙기 이었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Although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that for organic farm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arvest stage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organic barley, an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for shortening of harvest date and improvement of forage quality. The experiment was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were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and sub-plot were field wilting for 1 day, crushed rice 10% (CR10%) and 15% (CR15%)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2.8%, 21.9% and 29.8%, respectively. The DM yield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0,346, 15,819 and 18,336 kg/ha, respectively, and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these were 6,288, 9,550 and 10,178 kg/ha, respectively. The pH of milking stage showed low 4.00 pH values. The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ash,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DN contents were decreased as harvest stage progressed,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increased. The crude ash (CA) of milking stage showed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s.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decreased CA, NDF and ADF contents, and increased NFC and TDN contents.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decreased with progressed harvest stage, whil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increased that of barley silage.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of milking stage were the highest, and butyric acid of milking stage was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 The goo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was observed in heading stage.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optimum harvest stage of barley silage for organic was milking stage. Th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additive could be recommended as effective method for shortening harvest date and increasing forage quality of organic barley si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