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Curricula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2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4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문 교육은 교과 교육의 하나이고, 모든 교과는 내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지하듯이 교과의 내용 체계는 교과에서 교육할 내용을 집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는,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 구분의 기준과 내용 조직의 원리를 탐색하고 내용 체계 시안을 개발한 뒤, 이에 따른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행 한문과 내용 체계와 학계에 보고된 내용 체계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배경 학문의 지식 결여, 용어의 개념과 범위 혼동, 한문 교과의 학문적 구조 반영 미흡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내용 체계의 세로축 곧 영역 구분을 한자 생활, 한문 지식, 한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로축 곧 내용 조직과 관련된 범주화 및 구조화를 각각 몇 개의 안으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 전문가 협의회, 연구진 협의회 등을 거쳐 세 개의 내용 체계 안을 조정하여 ‘내용 체계 시안’을 확정하였다. 연구진은 내용 체계 시안을 바탕으로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재 개발은 우선 한자 생활, 한문 영역 내의 중영역을 대단원으로, 소영역을 한 개의 소단원으로 설정하였다. 단, 한문 지식 영역은 독립 단원으로 편성하지 않고, 학습 자료로 교재의 말미에 편찬하였다. 결국 한문과 내용 교재는 5개의 대단원, 14개의 소단원, 그리고 참고 자료로 구성, 편찬되었다. 한문과 내용 교재는 무엇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는데 치중하였다. 편찬의 기본 방침은 특히 본문의 학습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 있다. 기존의 교과서와 달리, 학습 목표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제시하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연구진은 중학교 한 곳, 고등학교 한곳을 택하여 개발된 실험용 한문 교재를 사용하여 현장 시연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교사들의 의견, 그리고 협력 교사의 비평 등을 참고, 활용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의 결과물은 한문교육을 담당하는 한문 교사에게 한문과의 학문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학습자에게 전수할 한문과 학습 내용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체계가 바뀌면 학교 현장의 한문교육의 양상도 바뀌게 될 것이다. 내용체계의 변화는 내용의 변화를 수반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교재로서의 교과서 개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변화가 예견되며 이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one of curricular educations, and every curriculum has its content system. As you are well aware, the importance on the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at it intensively suggest contents to be educated in the curriculum. The key task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riteria for dividing the fields of content system as well as the principle of content system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velop the tentative plan of content system, and then to develop a content textbook for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is. As a result of having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tent system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including the lack of knowledge on background learning, confusion ab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inologies, and insufficiency of reflecting the academic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group set up the vertical axis of content system, namely the division of fields, as classical Chinese life, knowledge on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And we set the horizontal axis, in other words, each of the categorization and structurization related to content system, as several plans. After three content system plans were adjus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expert consultation, and consultation of research groups,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was developed. The research group developed a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In the first place, the text development set up middle fields in classical Chinese knowledge and classical Chinese field as a large unit and the small field as a small unit. However, the classical Chinese knowledge field was not made as an independent unit but was compiled at the end of the text as a reference material. After all, the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osed of and compiled with 5 large units, 14 small units and a reference material at the end of it. The content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ced a lot of emphasis in materializing learner-oriented education above everything else. The basic direction of compilation is demonstrated especially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main text. Unlike existing textbooks, it doesn't suggest the result of learning objectives but sought to propose the process and procedure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preliminary field application tests for the developed content text by selecting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Taking account of and utilizing a lot of inputs, including the responses from students,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comments of cooperative teachers, the group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the textbook.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classical Chinese teachers in charg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th directions on what the academic ident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is and what the key points of the classical Chinese and learning contents to be taught to learners are. If the content system is changed, the aspec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school fields will also be changed.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of content system will accompany a change in contents and the modification of textbook for accommodating the change will be inevitable. To start with, a variety of changes in the method forming textbooks are foreseen, and these will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ing-learning of classroom class at school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내용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 내용 체계의 기능과 원리
2. 내용 체계에 대한 통시적 고찰
3. 현행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검토
Ⅲ. 내용 체계 시안 개발
1. 영역 설정과 내용 조직
2. 내용 체계 시안
Ⅳ. 내용 체계 시안 적정화 분석
1. 설문 조사
2. 전문가 협의회
3. 내용 체계 시안 확정
Ⅴ.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구성 체제
1. 교재 개발의 방향
2. 교재 구성의 체제
3. 교재 개발의 실제
Ⅵ. 결론
저자
  • 김왕규(한국교원대) | Kim, Wang-kyu
  • 원용석(군포중) | Won, Yong-seok
  • 한은수(서울신우초) | Han, Eun-su
  • 김동규(낙생고) | Kim, Dong-k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