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재료 응용의 최근 연구동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in Application of Display Materials Using Conductive Polym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5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전도성 고분자는 고분자가 갖는 높은 투과도와 화학적 구조에 의한 전도성 특성, 좋은 가공성, 낮은 가격과 같은 이점 때문에 전자산업, 특히 디스플레이 재료 개발 분야에서 그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산화환원에 의해 다른 상태의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색변화, 전도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직접적인 색변화를 이용한 전기변색 디스플레이와 전도성 고분자가 갖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재료들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그 종류마다 다른 전도도를 갖게 되는데, 이는 그 고분자를 이루는 물질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며, 또한 doping level, dopant, 중합방법에 따라 전도도의 조절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최근 전도성 고분자 응용 분야의 대표적인 선도 연구로는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대전방지, 높은 전도도를 이용한 투명전극 응용 등이 있다.

Conductive polymers have been investigated for display material applications due to their high transparency, electrically conductive properties from chemical structures, good processability, and low cost. Conductive polymers have different structure by redox reaction and when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 the color and conductivity can be changed. Therefore, electrochromic display using direct color change and display materials using controllable conductivity have been researched. Conductivity is dependant on species of conductive polymer because conductivity is determined by composition of them and also, conductivity can be controlled by doping level, dopant, polymerization. Recently, these materials are explored in electrochromic display, ESD (Electrostatic Dissipation), transparent electrode with high conductivity and so on.

저자
  • 김정훈(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패턴집형형 능동폴리머 소재센터, 동진쎄미켐 전자재료재료 사업부 종합연구소) | Jeonghun Kim
  • 김은경(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패턴집형형 능동폴리머 소재센터) | Eunkyo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