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師範大學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의 改善 方向과 模型案 硏究 KCI 등재

Study on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ourse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and its model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6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1973년에 漢文敎育科가 신설된 지 30여 년이 지났다. 漢文敎育科가 有能한 漢文敎師 養成이라는 본래의 설립 취지와 목적을 바르게 정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시점이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교육에 적절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1)교과 내용학을 충실히 다루는 형태와, (2) 교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편성하는 형태, (3) 여러 교과를 통합한 통합 형태. (4) 인터넷 등 사이버 공간에서 교육할 수 있는 Cyber 中心 敎育課程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해 보았다. 각 영역별 내용을 요약 정리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내용 중심형 교육과정은 한문 원문 및 관련 자료의 이해를 기본으로 교과 내용을 세분화 한 것이다. 기초 영역은 `기초한문`, `한문학 개론` 등의 교과목을 철학 영역은 한·중 순수 철학의 내용을, 역사 영역도 한·중 역사 관련 내용을 산문 영역과 한시 영역은 한·중 순수 산문과 소설 그리고 한시의 내용을 교과로 제시하였다. 종합 영역에서는 `한문 작문`, `한국 한문학사`, `중국 한문학사` 등 순수 한문학의 종합 교과를 설정했고, 교과 교육학에서는 한문과 교육의 기본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한문교육과 교과 교육 중심형 교육과정은 한문 교육의 기본 지식 함양과 현장 교육의 실제적 적용을 중심으로 교과를 설정한 것이다. 즉 한문과의 철학 영역·역사 영역· 산문 영역·한시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한문의 기본 지식을 근간으로 현장의 교육 방법이나 평가 등을 접목한 형태이다. 본 교육과정은 사범대학이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교육과정 모형이다. 셋째, 한문교육과 통합 교과 중심형 교육과정은 문·사·철의 교과 영역의 한계를 넘어 주제 또는 내용 통합 방법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려는 형태이다. 본 교육과정을 한문교육과에서 개설할 경우 한 학기 강의로 심도 있는 교과 교육이 어려울 가능성도 있으므로, 강좌를 Ⅰ,Ⅱ,Ⅲ의 형태로 운영할 필요도 있다. 넷째, 사이버 교육과정은 미래 漢文科 敎育이 기존 교육과정의 제약을 받지 않고 Cyber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해야 주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설정한 모형이다. 本 師範大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에 대한 模型 硏究는 궁극적으로 漢文科 교육의 質的 成長을 圖謀하기 위한 人的, 制度的 整備를 念頭에 둔 것이며, 본 연구를 계기로 새 시대에 적절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수립과 질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epartments of Sino-Korean Education have been made to foster Sino-Korean teachers in some universities since 1973. Now when 30 years gave passed since it was open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a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ourse has been well done to establish and realize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opening. `Fostering Competitive Sino-Korean Teachers`. On this study, Sino-Korean and course proper to modern education are suggested by classifying into four types like followings. (1) the type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subjects faithfully (2)the type to organize based on the subject pedagogy Sino-Korean Education (3)the type to integrate some subjects (4) the course to educate in the cyber space, such as Internet, and so on. An also, it is classified into the field of contents of subjects(basics, philosophy, history, prose, Chinese Poems, and generals) and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basics, text, method, evaluation, generals) by each field, and then the related subjects are set. The summary if the contents by field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course focused on the contents of subjects is a type to sub-divide the contents of subjec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ino-Korean Text and its related data. Basic field includes subjects like basic Sino-Korea, and Introduction of Chinese Classics. Philosophy field includes the content of pure philosophy of Korea and China. History field includ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 and China. Prose and Chinese Poetry field includes the pure proses and novels of Korea and China, and Chinese poetry. The general field includes the general subjects of pure Chinese Classics of `Korea` and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of China` Subject Pedagogy includes the basic contents of subjects of Sino-Korean and Education. Second, the course focused on the subject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s to set up the subject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the basic knowledge of Sino-Korea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field education. That is, in all fields, such as philosophy, history, prose, and Chinese poem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 the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field are connected on the basis of basic knowledge of Sino-Korean Writing. This course is a mode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of education. Third, the course focused on the integrated subjects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s a type to operate the course in a way to integrate subjects and contents beyond the limits of subject field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When this course is opened in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the deep subject education as a semester lecture is likely to be difficult. So it is desirable to operate with a type of Ⅰ, Ⅱ, Ⅲ. Fourth, Cyber course is a model set to offer the various and free opportunities to the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Korean with a cyber space in the future. And the Cyber Education of Sino-Korean in the future should be a subject education in which the interesting and beneficial subject education, the mutually related to the field education, the education to cultivate the creating power of knowledge(知識 生成力) to prepare for the society based on the knowledge, and the education to integrate with emphasis on Sino-Korean Characters, and Sino-Korean are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model of the course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to consider the maintenance in human and system to seek the qualitative growth in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ultimately. With this study as a turning 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qualitative growth in the course proper to the new age will be done.

저자
  • 宋永日(大田 大德高) | Song Young 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