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연중심의 녹색교육 활성화를 위한 숲유치원 프로그램 분석 -북부지방산림청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 Analysis on Forest Kindergarten Program for Nature-Focused Green Education -Focused on Northern Regional Forest Service Forest Kindergart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자연중심의 녹색교육 전문화를 위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앞으로의 숲유치원 적합모델 개발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국민 1/2 이상의 생활권역인 수도권과 강원 영서지역에 운영 중인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7개 기관의 숲유치원 14개 원을 대상으로 숲유치원의 운영현황, 프로그램, 시설물, 참여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거의 모든 유치원이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모두 사전 협약을 체결하였고 주말 운영을 하였다. 둘째, 감각, 신체, 창의성, 자연지식, 영성・감성, 기타 교육 유형으로 구분하여 숲유치원 대상지의 시설물 및 환경에 맞춰진 지도교안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설물은 식물교육장 및 야외교육 시설이었고 대피소의 구실을 하는 시설물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장 높은 참여도를 보인 곳은 접근성이 양호하고 숲해설 코스가 잘 발달하여 있는 수락산 숲유치원이었고 두번째는 강원 영서지역의 숲체원 숲유치원이었다. 이곳은 휴양 기능을 겸비한 국내 유일의 숲문화 체험 교육전문 시설로 숲 속 골든벨등 독특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directions to develop proper Forest Kindergarten model and offering Forest Kindergarten source data applicable to the field to activate Forest Kindergartens the institution nature-focused green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orest Kindergarten programs managed by Northern regional forest service. The research method is the analysis was made on operational status, program, facility and participation of 14 Forest Kindergartens belonging to the seven Northern regional forest service agencies in the western area of Gangwon and the capital area, the living sphere for the half and more Korean people. From the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kindergartens belonged to the category of experience type Forest Kindergarten, all of them operated weekend services under the previously made agreement. Second, the contents of forest narration program were divided into sense, body, creativity, natural knowledge, spirit・sensibility and other education types were in operation with the teaching plans in line with facilities/environment at the forest kindergarten site. Third, the most common facility type was botanical garden and outdoor education facility, without sufficient shelter facility. Fourth, Suraksan Forest Kindergarten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with its conveniently accessed and well developed forest interpreting course. Meanwhile, Soopchewon Forest Kindergarten showed the next highest participation. This is Korea's only recreational facility that specializes in forest culture experience and education, with the unique and various types of programs such as the Golden Bell quiz in Forest.

저자
  • 김동찬(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Dong Chan Kim
  • 이정님(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eong Nim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