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KCI 등재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8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deficit-supply)에 의해 다목적댐을 모의 운영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저수량을 기반으로 댐별 물 공급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16개 다목적댐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댐별 물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안동댐, 임하댐 및 합천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진강댐과 부안댐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안댐은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에 있어 가장 낮은 수준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물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ased on deficit- supply method and reservoir storage is presented. The method is applied to 16 multi-purpose dams and water supply performance is evaluated. As a result, 6 dams(Soyanggang, Chungju, Hoengseong, Andong, Imha, and Hapcheon dam) have highest performance and 2 dams(Sumjingang and Buan dam) have relatively low performance. Particularly, Buan dam is the most vulnerable in the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Therefore,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ater supply are needed in Buan multi-purpose dam.

저자
  • 이동률(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Lee, Dong Ryul
  • 문장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Moon, Jang Won 교신저자
  • 최시중(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Choi, Si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