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합수자원평가지수의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86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이용, 홍수 및 하천환경의 3개 수자원 정책 부문에서 수행한 사업성과를 지역별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수자원평가지수(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IWREI)를 개발하는 것이다. IWREI는 각 부문별 취약성을 나타내는 물이용취약지수(Water Use Vulnerability Index, WUVI),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하천환경취약지수(River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ex, REVI)를 통합하여 산정된다. 이들 지수들은 물이용, 홍수, 하천환경의 피해를 주는 압력지표(pressure indicators)와 이에 의한 피해 현상지표(state indicators) 및 피해의 대책지표(response indicators)에서 선정한 총 26개 지표로 구성된다, 산정된 지수는 Low, Medium Low, Medium, Medium High, 및 High의 5단계로 취약성 및 정책수행의 효과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115개의 중권역에 대해 WUVI, FVI, REVI 및 IWREI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초반에 비해 2000년대 초반의 지수가 개선되어 수자원 정책의 사업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간 수자원의 취약지수와 평가지수는 수자원 정책목표의 설정과 사업이행의 우선지역을 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IWREI) which can us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water resources projects in a regional perspective focusing on three major sectors including water use, flood, and river environment in water resources policies. The IWREI is estimated by integrating the Water Use Vulnerability Index(WUVI),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and the River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ex(REVI) which represent the vulnerability in each sector. These indices consist of total 26 indicators selected from the pressur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auses of damages in water use, flood, and river environment, the state indicators and the response indicators. The estimated index describes the vulnerability and effectiveness of policies with five levels: Low, Medium Low, Medium, Medium High, and High. The results of evaluating total 115 hydrological units in Korea using the WUVI, FVI, REVI, and IWREI indicate that the project effectiveness in water resources policies is clearly verified by the improved index results compared to the past(early 1990s). Regional vulnerability and evaluation indice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uld be used to establish goals of water resources policy and to select priority regions for project implementation.

저자
  • 이동률(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Lee, Dong-ryul 교신저자
  • 최시중(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Choi, Si Jung
  • 문장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Moon, Jang Won